민·관·정으로 구성된 ‘파주시 고엽제 민간인 피해자 실태조사단’이 JSA(공동경비구역) 대성동마을 주민 고엽제피해 실태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다.
앞서 경기일보 보도를 통해 대성동마을 주민들이 1967~1972년 남방한계선 일대에 뿌려진 고엽제로 피해를 입은 사실이 세상에 알려졌다.
정부가 직접 조성한 대성동마을에 민간인 고엽제 후유의증 질환 전수조사를 위해 피해실태 조사단이 방문한 건 1953년 7월27일 정전 협정 후 파주시가 처음이다.
7일 파주시에 따르면 피해실태조사단은 대성동마을 주민들을 방문, 피해사례 및 질환 유형 등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다.
현재 전체 140여명 중 60% 가까이 질환등 피해 조사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파주시는 지난 6월 전국 최초로 민간이 고엽제 피해구제위해 김진기 부시장를 단장으로 더불어민주당 최유각 시의원, 국민의힘 손형배 시의원, 추원오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장, 김기영 고엽제전우회 파주시지회장, 김동구 대성동 이장등 총 11명으로 실태조사단을 꾸려 민간인 고엽제 피해자를 지원(경기일보 6월29일자 1·5면, 7월5·15일자 1면)하기로 했다.
파주시는 현재 피해실태조사단이 확보한 개인병력리스트의 보안을 유지하는 한편 현행 고엽제법상 고엽제후유증인 고혈압 등 24개 질환과의 대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김경일 시장은 “피해사례 등을 오는 10월 시의회에 보고하고 지난 6월 입법예고가 마무리된 ‘파주시 고엽제후유증 민간인 피해자에 대한 지원조례안’을 통과시켜 지원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