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제작된 전국 8도 군현지 '독도' 명칭…김포군 소속 섬 표기 김포시, 첫 행정지번(걸포동423-19번지) 부여…‘독도’ 행정명칭 공식화 나서
“바다가 아닌, 한강의 독도를 아십니까.”
김포시가 걸포동 한강 하구 앞의 섬인 독도(獨島)에 행정지번을 부여하고 독도 알리기에 나섰다.
7일 김포시에 따르면 독도는 김포에서 고양 방향으로 일산대교를 넘어가다 보면 오른쪽에 자그마하게 자리 잡고 있는 섬으로 위성지도 등에 ‘형제섬’으로 표기됐으며 1872년 조선 후기 지방도인 김포지도에도 ‘독도’ 표기돼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도서에는 누락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이행(1478~1534) 등이 제작한 것으로 알려진 조선 중기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 후기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제작한 동여도(보물 제1358-1호)에도 같은 명칭으로 기록돼 있다. 조선시대에 제작된 전국 팔도 군현지에도 독도라는 명칭으로 김포군 소속의 섬으로 표기돼 있다. 1920년대까지는 과거 고양군을 연결하는 나루터와 민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시는 토지경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독도에 행정지번(걸포동423-19번지) 표지판을 설치했다.
시는 표지판 설치를 시작으로 행정명칭을 독도로 공식화하기 위해 한강하천기본계획 변경 시 행정명칭이 반영될 수 있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현재 형제섬은 유실 지뢰 위험 등으로 출입할 수는 없으나 이 지역을 관할하는 군부대 협조를 얻어 만조시간대 확인 후 안전한 가운데 섬의 환경을 확인했다.
시는 섬 안에 들어가 초소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하는 건축물을 확인했으며 이 건축물 벽면에 ‘김포시 걸포동 423-19’ 행정지번이 담긴 표지판을 설치하는 등 형제섬이 김포시 관할임을 명확히 하는 작업을 마쳤다.
한편 윤순영 (사)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은 “과거부터 이 섬을 가리켜 갈대꽃이 아름답게 피는 섬을 뜻하는 ‘독도갈화’라고 해 김포팔경 중 하나로 꼽혔다”고 말했다.
이어 “이 섬을 ‘고도(孤島)’라고도 불렀다. 원래 이 섬에는 어로작업 등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40가구 정도의 농가와 걸포동 감암포에서 고양군 이산포로 가는 나룻배가 기착하는 포구가 있었지만 1925년 대홍수로 마을 사람들이 육지로 떠나게 됐다”고 덧붙였다.
신동진 하천과장은 “형제섬 안에 표지판을 설치함으로써 형제섬이 김포시 관할 지역임을 명확히 했을 뿐 아니라 섬의 환경 또한 자세히 확인할 수 있었다”며 “한강 하구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