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는 접경지역 도시 중 이미 남북출입국사무소와 판문점, 육상로, 경의선 등 공간적 경로연계 역사성을 보유하고 있어 평화경제특구 지정 조건을 갖춘 적합한 도시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파주시민포럼·경기일보 주관·주최로 2일 파주시 평생학습관 대강당에서 열린 ‘평화경제특구 왜, 파주인가’ 토론회에서 이 같은 의견이 나왔다.
토론회에는 김경일 파주시장, 더불어민주당 박정(파주을)·윤후덕 국회의원(파주갑), 이성철 파주시의회 의장, 이성렬 파주시민포럼 회장, 파주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했으며 좌장은 차문성 파주향토문화연구소장이 맡았다.
평화경제 등 남북 관련 현안분석에 저명한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이영성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고성일 국민대 행정관리학과 교수, 박석문 파주시 자치행정국장 등이 참석해 토론했다.
참석자들은 ▲남북한 및 동북아 철도망 연결 거점 ▲세계 유일의 DMZ가 도시 상당 부분에 접해 있는 점 ▲서해안축과 동해안 축을 연결하는 지점 H자 벨트의 거점 ▲서울 및 경기 전역과의 연결성 등의 장점으로 평화경제특구는 파주에 유치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파주시는 평화경제특구 지정을 향한 확신을 반드시 결실로 이뤄내겠다. 평화의 중심도시인 파주에서 평화가 곧 경제인 새로운 길을 만들겠다”며 “미래를 책임지는 변화를 이뤄낼 때까지 최선을 넘어 사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평화경제특구는 북한 인접지역에 시·도지사 요청으로 통일부·국토부 장관이 공동으로 지정한다. 특구로 지정되면 산업단지나 관광특구가 만들어진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평화경제특구법 제정 및 공포절차가 마무리돼 연말 시행을 앞둔 시기에 접경지역 중 파주시에서 첫 개최해 의미를 더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