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고속도로 원안 vs 변경안, 양서면 주민 엇갈린 반응

“정쟁으로 싸우는 여·야 보기 싫다”…재추진엔 한 목소리  

양평군이 11일 오후 양서면 주민들을 대상으로 개최한 서울~양평 고속도로 설명회에서 한 주민이 의견을 발표하고 있다. 황선주기자

 

서울~양평고속도로 백지화 선언 이후 원안 종점이었던 양평군 양서면 주민들 사이에서 원안과 변경안에 대해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주민들은 고속도로가 재추진 될 수 있도록 여·야가 노력해 달라는데 한 목소리를 냈다.

 

또 수년간 요청해 온 군 숙원사업이자 1조7천억원이 국책사업이 여야 정쟁으로 백지화 선언이 나왔다고 안타까워하고 있다.

 

주민들은 국토부의 갑작스러운 백지화 결정을 12만5천 군민들이 납득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도 했다.

 

양수리 주민 이윤영씨는 “서울사람들의 통행 때문에 양평의 세미원, 두물머리 등 양수리 일대 교통체증이 심각하다. 그냥 양서면을 종점으로 하는 원안대로 해 달라”며 “서울~양평고속도로가 재추진 되려면 여·야의 정쟁이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증동1리 주민 한기열씨(67)와 이장 김성진씨는 “군민들의 편익성을 고려하는 IC건설을 백지화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지금 양서면 JCT 인근 주민들은 각종 차량 소음과 대교로 인한 경관훼손으로 원안을 반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1일 군이 실시한 주민설명회에 참여한 한 주민(여·복포리)은 “JCT 인근에 살고 있어 매일 소음으로 고통받고 있다. 700여 가구가 밀집해있는 양서면 복포·청계리 주민들에게 피해만 주는 JCT를 주민들은 원치 않고 있다”며 원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강상면 세월리 주민 A씨는 백지화 발표 이후 빚어진 양서면 주민과의 갈등도 소개했다.

 

그는 “예타통과 발표 이후 양평군 이장협의회 등 모두 잔치분위기였는데 최근 백지화 선언 이후 주민들 사이에 의견이 갈리면서 감정의 골이 깊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했다. 

 

양평군은 12만 5천 군민의 오랜 염원인 ‘서울-양평 고속도로’ 사업 재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합리적 노선으로 재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군 관계자 “양평군에 가장 도움이 되는 노선으로 고속도로가 건설돼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