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당 환자, 음주하면 정상혈당 일반인보다 간암 발병률 높아

image
서울대병원 제공.

 

혈당이 높은 환자가 과도하게 음주할 경우 간암 발병 확률이 크게 높아진단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과음하는 당뇨 환자는 비음주 정상 혈당의 일반인보다 간암 위험이 약 3배 이상 증가했다.

 

유수종·조은주 서울대병원 교수, 정고은 강남센터 교수, 한경도 숭실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난 2009년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성인 938만7천670명을 상대로 진행한 '혈당 수준에 따른 알코올 섭취량 및 간암 위험 연관성' 분석 결과를 11일 내놨다.

 

연구팀은 건강검진에서 측정된 공복 혈당 수치에 따라 연구 대상을 ▲정상혈당 ▲전당뇨 ▲당뇨 3개 그룹으로 나눴다. 이후 구분된 집단을 주당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비음주(0g), 경·중등도 음주(1∼209g), 과음(210g 이상)으로 다시 구분했다. 자가 문진에서 답한 주당 음주 빈도(일수) 및 섭취 강도(잔수)의 곱으로 계산했고, 한 잔의 알코올 함량은 8g으로 정의했다.

 

연구팀은 대상들을 8년 3개월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 전체 중 3만4천321명(0.37%)에게서 간암이 발병했단 사실을 확인했다.

 

그룹별 간암 발생 위험비 분석 결과 모든 혈당 상태에서 알코올 섭취가 증가하면 간암 위험도 선형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정상혈당군 및 전당뇨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음주량이 많을수록 간암 위험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상혈당 비음주군과 비교했을 때 전당뇨 경·중등도 음주군과 당뇨 과음군의 간암 위험은 각각 2.02배, 3.29배 증가했다. 공복 혈당 수치로 평가한 혈당 수준이 높을수록 음주 섭취량 증가 시 간암 위험이 더 크게 뛰어올랐다. 

 

정상 혈당 비음주군과 비교했을 때 정상혈당 과음군의 간암 위험은 1.39배 오른 수준이었다. 반면 당뇨 비음주군은 1.64배로 정상혈당 과음군보다 간암에 걸릴 확률이 높았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음주량 관계없이 간암 위험이 높은 것이다.

 

연구팀은 당뇨나 전당뇨 진단 환자는 간암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금주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유수종 소화기내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암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알코올 섭취량과 혈당 상태의 상호작용을 조사한 최초 연구"라며 "개인의 혈당 상태에 따라 같은 양의 음주도 간암 위험을 많이 높일 수 있어 간암 예방 전략 수립 시 개별화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 연구 결과는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플로스 의학’에 온라인 게재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