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양평 고속도로 건설 재개를 두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벌이는 가운데 ‘새로운 특혜’ 의혹이 제기됐다. 김건희 여사 특혜론과는 반대로 이번엔 민주당 측인 정동균 전(前) 양평군수 일가가 대상이다.
9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4월께 최재관 더불어민주당 여주·양평 지역위원장은 정동균 당시 양평군수와 지역당정협의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강하 IC 설치’ 등의 지역주민 간담회 내용이 전달됐다고 알려졌다.
앞서 한 달 전이던 2021년 3월까지만 해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당초 원안에서의 종점은 강하면을 지나지 않았는데, 이후로 이 간담회 내용이 국토부에 전달되면서부터 상황이 달라졌다.
국토부가 강하IC를 설치하면서 종점을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하는 지금의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민주당은 김건희 특혜론을 주장하며 대안을 반대하기 시작했다. 단 강하 IC의 경우는 “종점을 바꾸지 않고도 (설치) 가능하다”는 주장을 폈다.
그런데 대법원 등기부등본 등을 통해 살펴본 결과, 정 전 군수와 일가친척들이 양평 옥천면 아신리에 총 14개 필지 1만68㎢에 달하는 토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중 9천709㎢ 규모의 11개 필지가 원안 상 종점에서 불과 1.6㎞ 거리에 떨어져 있었다.
그동안 민주당 측은 정부가 김건희 여사의 ‘양평 땅값’을 올리기 위해 노선을 바꿨다고 주장해 왔는데, 현재 같은 상황이라면 정 전 군수 측도 마찬가지로 ‘양평 땅값’을 올리기 위해 종점을 원안대로 뒀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는 셈이다.
일례로 민주당 주장처럼 종점을 그대로 두고 강하 IC만 설치하는 노선이 생기면, 직전 형태이던 노선이 L자 형태에 가깝게 휘어지게 된다. 일부 목적지까지 직선으로 연결되지 않고 우회하는 모습이라 일반적이진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정동균 전 양평군수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직선거리로 1.6㎞ 떨어져 있다고 하지만 해당 토지는 양서면에서 큰 산을 하나 넘어가야 하는 아버지 고향이자 선산이 있는 옥천면에 있다”면서 “제 명의의 토지는 상속받은 산골짜기 땅 1천㎡뿐이다. 사촌 형님이 그 동네에 살고 계시는데 땅을 얼만큼 가지고 있는지는 알지 못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2년 전 군수 시절 당정협의회에서 서울~양평 고속도로 원안을 고수하면서 강하 IC를 추가하자고 했다는 논란과 관련해서는 “강하면 주민들이 남양평 IC까지 오지 않고 서울에 갈 수 있게 해달라고 해서 그 내용을 추가해 논의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