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에 성인 당뇨병 진단을 받을 경우 유전적 영향에 의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크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으로 그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곽수헌·박경수 교수와 이현석 전문의 연구팀은 30∼60대 성인 당뇨병 환자 1만3천486명을 상대로 당뇨병 진단 연령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유전적 위험을 비교하고, 생활습관에 따른 유전적 위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성인 당뇨병(제2형 당뇨병)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기능이 떨어져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질환이다. 국내 30대 이상 인구 6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로, 최근 비만 인구가 증가해 40대 미만 연령층에서 조기 진단을 받는 환자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연구 결과, 진단 연령이 10년씩 빨라질 때마다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비가 14%씩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30대 당뇨병 진단 그룹의 위험비(HR 2.25)는 60대(HR 1.30)에 비해 1.73배 높았다.
이 결과는 연구팀이 영국 바이오뱅크 코호트에 등록된 당뇨병 환자 1만2천321명의 유전자를 분석, 대표적인 심혈관 합병증 관상동맹질환 관련 유전자변이를 확인하고, '다유전자위험점수'로 정량화해 확인했다.
연구팀은 당뇨병 조기 발병에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한다는 점에서, 유전적 요인이 조기 발병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일 것이라는 가설 하에 이뤄졌다.
이 결과는 서울대병원 코호트에 등록된 1천165명의 당뇨병 환자를 8년간 추적 관찰했을 때도 유사했다. 당뇨병 진단 연령이 빠를 수록 유전적 요인이 실제 관상동맥질환 발생에 끼치는 영향이 강해진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연구팀은 또 연령대별 당뇨병 환자의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을 비흡연, 비만하지 않음, 건강한 식단, 적절한 신체 활동 등 건강한 생활습관 여부에 따라 분석했다.
그 결과, 관상동맥질환의 유전적 위험이 높은 30대 당뇨병 환자가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갖고 있을 경우,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도가 유전적으로 낮은 위험을 타고나는 것 같은 수준까지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반면 같은 연령대 환자 중 유전적 위험이 높고 생활 습관이 건강하지 않을 경우, 유전적 위험이 낮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지닌 사람보다 관상동맥질환 발병 위험이 8.55배까지 증가했다.
박경수 교수는 "젊은 당뇨병 환자도 심혈관질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적절한 신체활동, 건강한 식단, 금연 등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당뇨병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당뇨병의 관리(Diabetes Care' 최근호에 게재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