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는 경기테크노파크 지역산업본부와 함께 ‘탄소중립전략’ 핵심인 탈(脫) 플라스틱 사회로의 전환에 맞춰 바이오플라스틱 개발 및 제조 기업 등을 지원한다.
9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2050년 탄소중립’에 도달하기 위해 바이오플라스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지역 특색에 맞는 현장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용창출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바이오플라스틱은 크게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등으로 나뉜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비분해성 플라스틱에 비해 환경부담을 저감할 수 있고,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식물유래자원에 의한 저탄소 효과 및 리사이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경기테크노파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분야별 지원 및 애로 해소에 노력하고 脫 플라스틱을 통한 순환경제 전환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는 계획이다.
방세환 시장은 “지역 특색에 맞는 바이오플라스틱 상용화 지원은 플라스틱 이슈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나아가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지역시 중소기업 중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부품, 바이오매스 기반 고분자 소재부품, 바이오플라스틱 복잡재료 활용 등을 통해 생분해성수지제품을 개발, 제조하려는 기업은 경기테크노파크를 통해 지원사업을 확인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