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지역 배 등 과수농가에서 지난달 이상기온으로 냉해 피해가 발생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특히 평택지역 배 농가의 90% 이상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일 평택시에 따르면 현재 시에 피해를 신고한 배 등 과수농가는 전체 농가 256곳의 약 60%에 달하는 151곳으로 잠정 집계됐다.
피해를 본 재배면적 역시 전체 289㏊ 가운데 약 151㏊로 절반을 넘었다.
또 배 이외에도 체리 농가 5곳(2.2㏊)과 블루베리 농가 3곳(1㏊) 등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과수농가에서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피해는 지난 3월 이상고온으로 평년보다 배꽃이 일찍 핀 상황에서 지난 3월27~29일, 4월7~9일 두 차례 이상저온으로 최저기운이 영하까지 떨어지면서 발생했다.
현재 시는 이번 냉해로 과수농가의 90% 이상이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개화한 배꽃이 냉해를 당하면 암술의 씨방이 고사하면서 배가 열리지 않거나 생장에 문제가 발생해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더욱이 과실 수정이 잘 이뤄지려면 일정한 온도가 유지돼야 하나 기온이 낮아진 탓에 착과수마저 감소할 수 있다는 게 시 농업기술센터의 설명이다.
현재 시는 이번 피해로 관내 배 과수농가의 90% 이상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 2020년에도 냉해 피해로 평택시 월곡동과 죽백동 등지의 과수농가에서 약 200㏊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시는 평택원예농협과 함께 착과수를 확보하고 영양제를 살포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배 냉해 피해는 2곳에 그쳤으나 올해는 4월부터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피해 신고 역시 늘고 있다”며 “현재 농가 대부분 피해를 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정장선 시장은 “피해가 심각한 만큼 경기도를 통해 중앙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하고 여러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