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지역에서 레미콘공장을 이전하려는 업체와 이에 반대하는 주민들이 수개월째 해법을 찾지 못하고 갈등을 빚고 있다.
오성·청북 레미콘 건립반대 비대위(이하 비대위)는 6일 평택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민 건강을 해치는 레미콘업체 건립을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평택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브레인시티 일반산단 개발로 부지가 수용된 A레미콘업체는 오성면 양교리로 공장 이전을 신청하고 공장이 이전하는 양교5리에서 주민 동의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양교5리 내 일부 주민을 포함해 오성면 양교1~6리와 죽1리, 청북읍 토진1·2리 등과는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못하면서 해당 지역 주민 1천200여명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이전부지 3㎞ 내에 마을은 물론 초등학교 1곳과 중학교 2곳 등이 있지만 이미 레미콘업체 3곳이 가동 중인 데다 2곳이 신규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같은 범위에 레미콘업체 외에도 산업폐기물처리업체, 화학폐기물 소각장, 유독물 보관창고 등 유해·혐오시설이 14곳이 들어서자 해당 마을 주민 1천200여명은 더 이상 유해·혐오시설이 들어서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들고 일어난 것이다.
이날 비대위는 “레미콘업체의 미세먼지는 시멘트와 골재의 이송 및 혼합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집진 방지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가 어려워 원천적으로 차단이 불가능하다”며 “마을 곳곳에 폐기물처리장이 들어서 있고 산 밑에 축사, 산 아래 플라스틱을 녹이는 공장, 유해 물질·독극물 취급소 등이 있는 등 파괴되는 농촌을 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더 이상 유해시설이 들어오는 걸 용납하지 않겠다. 우리는 이곳에서 오래도록 자연과 벗하며 이웃과 함께 살고 싶다”고 호소했다.
A레미콘업체도 난감하긴 마찬가지다. 다음달 1일까지 공장 이전을 마치도록 평택도시공사로부터 강제집행 최후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날 A레미콘업체도 “시, 시의회, 도시공사 등은 강제집행 계획을 즉시 중지하고 공장이전 신청을 조속히 승인해야 한다”고 입장문을 내놨다.
시 관계자는 “7일 오후 도시계획분과심의위원회를 열고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