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문제된 해외 리콜 제품 일부, 국내 재유통

유해물질 검출 음식료품 다수...소비자 각별히 주의해야

이미지투데이

 

해외에서 안전성 문제로 리콜된 제품 일부가 국내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버젓이 재판매되고 있다. 

 

특히 이렇게 재판매되고 있는 제품 10개 중 4개는 '음식료품'인 것으로 조사됐는데, '유해물질 함유'가 리콜된 이유로 파악돼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한해 동안 미국·유럽 등 해외 39개국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여부를 확인한 결과, 2021년(392개)보다 53% 증가한 600개 제품을 적발했다고 2일 밝혔다. 

 

품목별로 음식료품이 249개(41.5%)로 가장 많았고 ▲화장품 97개(16.2%) ▲가전·전자·통신기기  93개(15.5%) 등 순이었다.

 

품목별 주요 리콜 사유. 한국소비자원 제공

 

가장 많이 판매 중이던 '음식료품'이 해외에서 리콜된 이유는 '유해물질 함유'가 187건(75.1%)을 차지했다. 이물질 함유(42건·16.9%), 부패·변질(4건·1.6%) 등 이유도 있었다.

 

이 중에는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으로 미국·영국에서 리콜된 땅콩버터(28개)도 포함됐다. 

 

'화장품'이 리콜된 이유로는 '화학(유해)물질 검출'(46건·47.4%)이 가장 많았는데, 이중 벤젠이 검출된 드라이·자외선 차단제 등 화장품이 46건 중 43건(93.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벤젠은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에서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한 화학물질로, 암·급성 백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화장품 제조에  사용할 수 없다. 

 

화학물질 검출에 이어 피부 접촉에 의한 위해·위험 가능성(40건·41.2%)이 뒤를 이었다.

 

'가전·전자·통신기기'는 절연미흡·기준 부적합 등 전기 관련 위해요인(48건·51.6%)이 가장 많았다. 특히 해당 이유로 리콜된 품목 중에는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전원코드로 일본에서 리콜된 전기보온병, 포트, 밥솥 등이 48건 중 31건(64.6%)을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과열·발화·불꽃·발연(16건·17.2%), 제조불량 등에 따른 고장(9.7%) 등 이유도 있었다.

 

특히 적발된 제품 중 제조국 정보가 확인된 것은 212개에 불과했다. 

 

나라별로 중국산(92건·43.4%)이 가장 많았고, 미국산(37건·17.5%)이 뒤를 이었다. 중국산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은 '아동·유아용품'(48건·52.1%)이었고, 미국산 중에선 '화장품'(19건·51.4%)이 가장 많았다.

 

소비자원은 적발된 600개 제품 중 593개를 판매차단하고, 7개 제품에 대해선 국내 수입·유통업자를 파악해 환급·교환 등 자발적 조치를 권고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