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행정대집행 상반기 완료…속전속결

image
파주시가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내 건물주와 토지주에게 서한문을 발송하는 등 폐쇄 압박강도를 높여 가고 있다. 파주시 공무원이 연풍리 성매매 집결지 건물과 토지주 등에게 서한문을 전달하고 있다. 파주시 제공

 파주시의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위반 건축물을 6월 안으로 행정대집행을 마무리하는 등 폐쇄정책이 속전속결로 이뤄지고 있다. 

 

앞서 시는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내 건물주와 토지주 등에게 건물·토지가 성매매업소로 사용되지 않도록 협조해달라고 서한문을 발송(본보 2월14일자 10면)한 바 있다.

 

28일 파주시에 따르면 올초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제2종 일반주거지역 내 위반 건축물 실태조사 결과 142동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1992년 이전 위반행위나 자진철거 등 35동을 제외한 나머지 107동이 위반 건축물로 조사됐다. 위반 건축물 유형은 107동 중 불법 증축이 61동, 무허가 건축물이 39동, 국공유지 무담 점유 건축물 7동 등으로 확인됐다.

 

시는 이에 따라 4월말까지 이들 위반 건축물에 대해 관련 법을 토대로 처분 사전통지와 함께 시정명령을 통보할 계획이다. 이어 행정대집행 계고 및 영장을 발부하고 늦어도 상반기 안으로 행정대집행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행정대집행은 1,2단계로 나눠 영업 중인 45동을 우선 대집행하고 나머지 비영업 중인 62동도 행정대집행에 나설 계획이다.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폐쇄에 대한 시장 결제 이후 5개월만에 신속하게 이뤄지는 셈이다.

 

시의 해당 지역 활용방안 관련, 수원특례시 기억공간 등 벤치마킹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8월 개관한 기억공간은 수원역 앞 성매매업소 건물을 리모델링해 조성한 공간으로 면적 84㎡에 단층 건물로 전시공간과 커뮤니티 공간 등으로 활용 중이다. 기억공간은 60여년 동안 세상과 단절된 장소의 어두웠던 과거와 밝은 미래를 잇겠다는 의미다.

 

김경일 시장은 “6월 안으로 성매매 피해자의 탈 성매매와 자활기반 마련을 위한 조례 제정에 나서는 등 물리적 조치와 여성인권 차원에서 제도적 지원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연풍리 성매매 집결지는 6·25전쟁 이후 미군주둔과 함께 들어섰으며, 그동안 재건축과 재개발 붐 등이 일면서 폐쇄위기에 몰렸으나 아직까지 유지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