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청년정책토론회 개최...“수원 청소년·청년들에게 다양한 기회 제공해야”

수원특례시청사 전경. 수원특례시 제공

 

수원시청소년재단의 기능 확대가 추진되는 가운데 청소년 뿐만 아니라 청년들을 위한 재단의 다양한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21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수원시청소년재단’의 명칭을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으로 바꾸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수원시 청소년재단 설립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의 심의를 제373회 수원특례시의회 임시회에서 받고 있다. 명칭과 목적 등의 변경으로 재단의 업무 범위를 청년영역까지 확대해 일자리와 사회 참여, 복지 등 다양한 청년 정책을 발굴하겠다는 것이다. 조례개정안은 오는 28일 제2차 본회의에서 통과 여부가 최종 가려진다.

 

심의에 앞서 시는 이날 수원유스호스텔에서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 정책토론회’를 갖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지난달 1일 기준 시 전체 인구(119만1천620명) 중 34%가 청소년·청년(만 9~34세, 40만333명)으로 이는 경기도의 청소년·청년 비율 30%(1천359만6천91명 중 412만1천508명)보다 높다. 수원은 수도권 남부 지역의 거점도시로 첨단산업이 발전한 데다 망포역 등 교통의 발달로 다른 지방자치단체보다 청소년·청년 인구가 많지만 정작 이들을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 등 인프라는 미비하다는 진단이다.

 

더욱이 후기 청소년(만19~24세)과 청년(19~34세)의 생애 단계를 연결하는 정책 필요성 역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대두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청소년과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원스톱 서비스가 진행돼야 할뿐더러 청년 문제가 청소년 시기부터 시작되는 만큼 생애주기, 발달단계 등 통합적인 관점으로 이를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는 “기후 재난 일상화, 고령화 시대 등은 기존 기성세대가 경험하지 못한 것으로 청년들 입장에선 현실에 닥쳐온 문제다. 따라서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시대를 맞이한 청년들에게 우리 사회가 더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며 “일례 이들이 활발한 네트워크 활동을 하는 공간 등 구조를 만들어야 하고 벤처기업 투자처럼 청년들의 실패를 감안한 채 새로운 시대의 발판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청소년 뿐만 아니라 청년들을 위한 재단 출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