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수 시장 2023 시정설명회에서 강조
김병수 김포시장이 서울 방화동의 건설폐기물처리장(건폐장)을 받는 것은 서울지하철 5호선 김포연장을 위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20일 김포시에 따르면 김 시장은 최근 열린 ‘2023 시정설명회’에서 “방화차량기지에서 갈아타지 않고 곧장 (김포로) 끌고 오기 위해서는 건폐장이 중요했다. 방화동 차량기지 이전과 건폐장 부지 개발, 이 둘을 동시에 하는 것이 서울시가 바라는 것이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시장은 서울지하철 5호선 개통시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시장은 “한강 콤팩트시티 교통망 차원에서 5호선 연장 합의를 발표한 것이 맞다”며 “(한강 콤팩트시티는) 2029년부터 입주를 시작해서 2033년경 끝난다. 그럼 지하철 5호선 또한 10년 안에 개통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시장은 “택지 공급 발표할 때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조사 면제받는 게 있다. 우리 시는 전력을 다해 기재부, 국토부를 찾아다니며 예타 면제 신청할 것”이라며 “(공사)를 지금부터 시작해도 2029년 맞추기 어려운데 예타 조사한다 적격성 조사한다 하면 더 어렵다”고 강조했다.
김포시로 연장될 서울지하철 5호선의 차량기지 인근으로 이전하게 될 건페장의 규모도 제시했다.
김 시장은 “강서구 건설폐기물 부지는 6만 3천평이 맞지만, 8개 업체가 사용하는 부지는 6천평에 불과하다. 우리는 6천~8천평 정도만 내주면 된다”며 “특히 이제는 법이 바뀌어 시설은 모두 옥내화 해야 한다. 정말 위험한 시설이었으면 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병수 시장은 절반의 성공인 GTX-D노선의 강남선에 대한 의지도 밝혔다.
김 시장은 “민선 8기는 사실상 교통 문제를 주요 과제로 안고 탄생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GTX-D 강남선을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시장은 특히 김포골드라인 증차와 관련, “2024년까지 12량으로 증차할 계획이다.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퇴근 시간대 배차간격을 현재 3분 30초에서 2월 24일부터 3분 7초로 앞당길 예정이며, 70번 버스는 이용객 증가 시 운행 대수를 추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시장은 이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문화예술회관 이전에 대해 언급하고 “당장 시작하기가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며 “시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검토해 보자고 했다. 공공기여를 받던, 다른 비용으로 충당하던 시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네폴리스 한강 변에 누구라도 올 수 있는 시드니 오페라 같은 문화예술공연장 같은 것을 검토할 수도 있다”며 “예산 마련 방안을 비롯한 부지 선정 등에 있어 최적 안을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