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가장 최근 지어진 컨벤션 시설을 보유한 수원특례시가 마이스 산업의 활성화에 고삐를 좼다.
14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0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교수 등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수원 특화마이스(MICE) 개발 및 발전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초 3천만원을 들여 해당 용역에 착수한 바 있다.
마이스는 기업회의(Meeting), 인센티브 관광(Incentive Travel), 국제회의(Convention), 전시회(Exhibition) 등의 약자로 이러한 행사로 대규모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는 이번 달 안으로 나올 예정인 최종 결과를 토대로 지역 사정에 맞는 마이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 뿐만 아니라 차별화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일례로 부산은 해양, 대구는 물, 경주는 문화유산 등 지방자치단체에 따른 도시 브랜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국내 마이스 산업의 현황을 파악·참고하고 있는 수원특례시는 중장기적으로 해당 산업을 특화할 방안을 찾을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마이스 산업의 개발 및 유치방향을 정하는 등 중장기적인 미래 먹거리 발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19년 3월 문을 연 수원컨벤션센터를 그 중심으로 판단하고 있다. 연면적 9만7천616㎡, 지하 2층부터 지상 5층 규모로 완공된 수원컨벤션센터는 현재 지방자치단체의 컨벤션 시설 중 가장 최신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욱이 인근 갤러리아백화점 광교점과 같은 상업시설 뿐만 아니라 숙박시설 등을 갖춘 데다 수원의 지리적 특성상 서울과 가깝다는 이점을 자랑한다. 서울을 중심으로 구성된 전분 문야의 학회 행사를 유치하기가 비수도권보다 상대적으로 수월할뿐더러 경기 남부 지역에 첨단기업이 밀집된 만큼 이러한 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도 노린다는 복안이다.
시 관계자는 “수원컨벤션센터가 건립된 지 1년 만에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어려웠던 만큼 이번 용역으로 활성화 방안을 고민 중”이라며 “최종 결과를 토대로 예산과 인력을 고려해 지역 특성에 맞는 마이스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