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착한가격업소’ 691곳 국비 지원 받는다

업소당 평균 85만원 수혜 전망

착한가격업소 인증 표시. 연합뉴스

 

코로나19, 고물가 등의 여파로 착한가격을 포기하는 업소가 늘고 있다는 지적(경기일보 13일자 1면)이 제기된 가운데, 정부가 ‘착한가격업소’에 국비를 지원한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국비 15억원, 지방비 37억원 등 총 52억원의 예산을 착한가격업소에 지원한다고 14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지방자치단체가 조례 등으로 자체적으로 지원해 왔지만, 올해부터는 국비를 투입해 자영업자들을 돕는다.

 

착한가격업소는 행안부와 지자체가 개인 서비스 요금 안정을 위해 2011년부터 운영해온 제도로 가격과 위생청결도, 종사자 친절도, 공공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한다.

 

업종별로 보면 외식업 외에도 이미용업, 세탁업 등이 포함되며 지난해 말 기준 전국 6천146곳, 그중 경기도는 691곳이 있다.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되면 쓰레기봉투·세제 등 무상 제공,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 지역별로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행안부는 착한가격업소 제도 활성화를 위해 그동안 지자체 조례 등으로 자체적으로 지원했던 혜택에 더해 올해 15억원의 국비 지원을 최초로 추진한다. 이에 올해부터 전국 모든 착한가격업소에 비용이 지원되며, 지원 비용도 연간 한 곳당 평균 45만원에서 85만원으로 대폭 확대될 예정이다.

 

최병관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물가안정이 무엇보다 중요한 현 상황에서 지역 물가안정을 위한 착한가격업소 지원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독려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착한가격업소 활성화를 통해 지역상인과 소비자가 상생해 고물가 시대에 서민경제가 안정화 되도록 지방자치단체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