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방수미 교수 연구팀이 국내 임산부 정맥혈전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산모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태아일수록, 제왕절개를 한 산모일수록 정맥혈전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방수미 교수, 순천향대구미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황헌규 교수 연구팀은 1차(2006년~2010년)와 2차(2014년~2018년)로 기간을 나눠 국내 임산부의 연령대별 정맥혈전증의 발생률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정맥혈전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을 분석했다.
2014년~2018년의 경우 전체 임산부에서 발생한 정맥혈전이 총 510건이었으며, 이중 약 63%에 해당하는 321건이 분만 후 6주 이내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분만 1만건당 정맥혈전 발생률은 총 2.62건으로 1차 연구의 0.82건에 비해 3.2배나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40대 산모의 발생률은 5.36건에 달해 20대 산모의 1.8건에 비해 3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단태임신과 비교하면 다태(쌍둥이)임신을 한 산모에서 혈전 발생률이 4.27배 높았고 자연분만과 비교하면 제왕절개로 분만한 산모가 2.99배 높았다.
논문 교신저자 방수미 교수는 “국내에서 출산한 모든 산모들을 대상으로 정맥혈전증 위험을 분석해 과거와 비교한 변화 추이까지 알 수 있게 되어 분만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들과 갈수록 높아지는 연령대의 산모를 진료하게 될 의료진에게도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1저자 황헌규 교수는 “국내와 정맥혈전 발생 비율이 유사한 아시아권 국가들도 이번 연구 결과를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아시아권 내의 대규모 연구수행으로 이어져 모자건강에 이바지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Thrombosis and Haemostasis (IF: 6.681) 23년 1월호에 실렸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