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대장동·위례신도시 개발 특혜 의혹’ 수사가 급물살을 탄다. 이 대표는 오는 28일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한다. ‘성남FC 후원금 의혹’에 이어 두 번째 소환이다.
박성준 대변인은 “검찰이 설 명절 밥상에 이재명 대표 소환이 이야깃거리가 되기를 바라기 때문”이라며 언론플레이로 규탄했다. 이 대표도 ‘하나 된 힘으로 야당 탄압에 결연히 맞서겠다’며 물러섬 없는 결의를 밝혔다. 권리당원에게 보낸 설 인사 문자메시지를 통해 단일대오를 주문한 것이다. 하지만 당 지지율은 떨어지고 친명·비명 간에 파열음만 커지고 있다. 친문계는 정책포럼 ‘사의재’를 지난 18일 발족했고 비명계는 오는 31일 ‘민주당의 길’을 출범한다. 당 대표 사법리스크를 염두에 둔 포석이자 세력화다.
국민의 시선도 따갑다. 최근 여론조사 결과 ‘적법한 검찰권 행사’(48.6%)가 ‘표적수사’(39.9%)보다 10%포인트 정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의 ‘야당탄압’ 프레임 공세에도 민심은 정치와 법의 영역을 별개로 생각함을 알 수 있다.
이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가 구체화할수록 떠오르는 인물이 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다.
그는 지난해 10월24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법무장관직을 포함한 앞으로 있을 모든 자리를 다 걸겠다”고 했다. 평소 차분하고 논리정연한 말투가 아니다. 두 눈 부릅뜨고 흥분한 목소리로 작심한 듯 언성을 높였다. 민주당 김의겸 의원의 이른바 ‘윤-한 청담동 술자리 의혹’ 폭로에 대한 분노였다. 대통령에 대한 무례, 그리고 장관 자신이 느꼈을 치욕스러움의 표출이다.
이날 그의 그답지 않은 언어는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된다. 법무부 국감에서 민주당 권칠승 의원의 (총선) 출마 계획에 답한다. “그런 생각이 없다는 말씀을 드린다. 제가 지금 여기서 왜 그런 말씀을 드려야 하는지 모르겠지만 현재 그런 생각이 없다.” 굳이 ‘현재’라는 단어를 콕 집었다. ‘현재’란 미래를 위한 계획이자 행동이며 결단이다.
여야가 내년 총선을 향해 계파 간 모임으로 저마다 진용을 갖추고 있다. 이러저러해도 총선의 가장 큰 변수는 이재명 대표 검찰 재판 결과와 한동훈 장관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