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부담·행정 절차 까다로워, 도내 3곳뿐… 확충 시급 지적 道 “2026년까지 4개 조성 계획... 시•군 도비 50% 지원도 고려”
경기지역 무장애통합놀이터가 예산 부족과 까다로운 행정 절차로 인해 태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놀이터에 비해 편의성이 보장된 무장애통합놀이터의 확충이 장애 아동뿐만 아니라 비장애 아동을 위해서라도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9일 오전 10시께 ‘THE 큰 무장애통합놀이터’가 있는 서호꽃뫼공원(수원특례시 팔달구). 5면의 장애인 주차 공간을 지나 입구 왼편엔 총 4개의 남녀 장애인·일반 화장실뿐만 아니라 가족 등이 함께 쓸 수 있는 가족화장실 1개가 있었다.
공원 곳곳은 보도블록 대신 휠체어가 부드럽게 지나갈 수 있는 바닥 마감재로 구성됐으며 시설물 간 턱과 계단은 찾아볼 수 없었다. 더욱이 폭 20㎝의 일반적인 그네 대신 성인도 탈 수 있는 크기인데다 등받이가 딸린 그네 등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었다. 이태영군(15)은 “다른 곳에서 그네를 타다 보면 너무 좁아 시설물에 부딪히거나 하는데, 이곳은 넓어 편하고 안전하다”고 말했다.
팔달구 양지말어린이공원에 위치한 ‘양지말 무장애 꿈꾸는 놀이터’ 역시 미끄럼틀에 계단 대신 오르막길이 있는 등 장애의 벽은 허물어져 있었다.
반면, 일반 놀이터가 있는 오산동 어린이공원은 상황이 달랐다. 장애아재활치료 교육센터가 근처에 있는 이곳의 경우 놀이터 주변으로 최소 높이 5cm의 턱이 둘러싸고 있었다.
이처럼 무장애통합놀이터와 일반 놀이터의 이용 편의가 극명하게 엇갈리기에 행정 당국이 무장애통합놀이터의 필요성에 공감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경기도와 일선 시군 등에 따르면 도내 무장애통합놀이터는 수원 2곳, 광명 1곳 등 총 3곳이다.
도내에 만 13세 미만 장애아동 1만5천599명이 거주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당 시설 한 곳당 장애아동은 5천199명인 셈이다.
그동안 무장애통합놀이터는 장애 아동을 위한 시설 조성이라는 사회적 공감대하에 일선 시군이 맡았다.
그러나 해당 시설 예산(평균 8억1천여만원)은 일반 놀이터보다 통상적으로 3~4배 많은 만큼 시군에 재정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또 설계 전과 완공 후 국토교통부 등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BF·Barrier Free)을 받아야 하는 등 까다로운 행정 절차도 존재하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장애인들도 사회 구성원 중 하나라는 인식으로 이를 확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병화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은 “무장애통합놀이터는 장애 아동과 비장애인 아동 모두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기에 행정 당국이 이를 늘릴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와 관련해 도 관계자는 “올해 첫 사업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추가적으로 4개의 무장애통합놀이터를 만들도록 하겠다”며 “또 시·군에 대해선 도비 50% 지원과 같은 구체적인 실현 방안도 세우도록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