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수십억 들여 매입한 연수시설 방치 논란

2021년 대부동 해안가 주택 등 38억9천400여만원 투입 사들여
아직까지도 건물 활용방안 표류

안산시가 연수시설 등으로 활용하겠다며 예산 수십억원을 들여 다가구주택 등을 매입한 뒤 수년째 방치하고 있다. 사진은 단원구 대부동동 해안가에 위치한 개인소유 다가구주택 일대 전경. 구재원기자

 

안산시가 연수시설 등으로 활용하겠다며 예산 수십억원을 들여 다가구주택 등을 매입한 뒤 수년째 방치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연수시설 용도로 구입한 건물은 훼손된 채 방치돼 원상복구하지 않으면 활용할 수 없는데도 소유권을 이전해 배경이 관심이 쏠리고 있다.

 

6일 안산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2021년 12월17일 단원구 대부동동 해안가 인근 자연녹지에 들어선 개인 소유 다가구주택 및 토지 16필지 등을 연수시설로 활용하겠다며 38억9천400여만원(탁상감정가)에 사들였다.

 

해당 다가구주택은 본관과 생활관, 별관, 세미나실 등 3개 동을 갖추고 있으며 건축면적 355㎡에 연면적 1천660㎡, 토지는 1만3천516㎡ 규모다.

 

그러나 2020년 2월 사용 승인을 받은 해당 다가구주택은 건물 대부분이 낡고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았으며 주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녹지도 훼손됐는데도 원상복구를 하지 않은 채 소유권을 이전한 뒤 방치하고 있다.

 

앞서 시는 2017년 12월 단원구 선감동 개인주택을 대부광산 문화유산관리센터로 활용하겠다며 8억4천300만원에 매입했다.

 

해당 개인주택은 부지 790㎡에 연면적 298㎡,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경기도기념물 제194호인 대부광산 퇴적암층 문화재보호구역 내에 위치해 시가 퇴적암층과 함께 매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매입한 개인주택을 관리센터로 지정한 뒤 전문인력 배치는 물론 지역 기관과 협연해 퇴적암층을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개발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방침이었으나 6년이 지나도록 방치하고 있다.

 

시의회 관계자는 “앞으로는 어떤 사업이나 건물 등을 매입할 경우 활용 방안 등을 충분히 검토한 뒤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개인주택의 경우 구체적으로 정해진 활용 방안은 없다”며 “다가주택 문제는 자체 감사가 마무리 단계다. 수사 의뢰 등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