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2030년까지 984억원을 들여 예상치 못한 폭우 등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 침수피해 예방사업을 추진한다.
1일 안양시에 따르면 시는 다음 달 환경부로부터 침수중점관리지역 지정을 받으면 사업비를 확보해 침수 피해 지역에 대한 침수예방사업을 즉각 추진키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상하수도사업소의 하수과, 하천녹지사업소 등의 생태하천과와 안전총괄과 등 3개 부서 공무원 6명으로 치수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침수 피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시설은 하수도, 하천, 빗물펌프장인데 관련 법률이 각기 다른 데다 지자체의 담당 부서도 나뉘어 있어 효율적인 사업 시행이 어렵다고 판단해 3개 분야를 통합해 관리하기로 했다.
치수TF는 내년도 110억원을 투입해 안양7동 등 올해 침수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 수문일체형 빗물 펌프, 반지하주택 역류방지 설비, 하수맨홀 추락방지 철망 설치사업을 추진한다.
이와 관련해 시비 80억원을 확보했으며 나머지 30억원은 국·도비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이와 함께 도시 침수 예방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안양천 등 주요 하천의 홍수위를 재결정하고 현재 시간당 최대 90㎜인 방재성능목표(시간당 처리 가능한 최대 강우량)를 100㎜ 이상으로 강화하도록 환경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인접 지자체를 포함한 유역 배수 체계 분석, 기존 수방시설 성능 검토, 침수위험지역 추가 검토, 선제적 재난관리 방안 수립 등도 마스터플랜에 포함할 예정이다.
올해 수해가 발생한 11개 동에 대한 중점관리지역 지정도 추진 중이다.
앞서 지역에선 8월8~9일 시간당 최대 147㎜의 집중 호우가 쏟아져 안양7동을 비롯해 지역 내 1천200여가구에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최대호 시장은 “세계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해 전국에서 가장 안전하고 살기 좋은 도시로 성장하고 재난으로부터 시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안양=김형표·박용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