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채, 왕정훈 시의원 행감서 의혹제기
광주시민을 위해 설립된 광주시문화재단이 축제 및 행사를 총괄하는 연출자와 총감독의 활동일지를 허위로 작성하고 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특정 업체에 일감을 몰아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9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28일 열린 광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 광주시문화재단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에서 재단이 위조자료를 제출하고 발뺌으로 일관했다며 오세영 대표이사를 질타했다.
이은채 의원은 이날 “각종 축제 및 행사를 추진하며 고용한 연출자와 총감독의 활동일지 사진이 수개월의 시차에도 불구하고 동일 사진이 캡쳐 돼 있고, 서명 날인은 연출자와 총감독이 아닌 재단의 직원이 허위로 서명하고 작성한 이유"에 대해 따져 물었다.
이 의원은 특히 “일정 금액 이상의 사업(용역)은 입찰 방식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재단은 수의계약 방식으로 업체를 선정했다. 이는 특정업체에 일감으로 몰아주는 특혜를 주려 한 것이 아니냐"고 질타했다.
지난 2년간 재단 대표에게 지급된 정근수당과 직급보조비가 ‘공무원의 수당에 관한 지급 규정을 준용’토록 하고 있는 재단 규정을 무시한 체 지급됐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왕정훈 의원은 “지방공무원은 실제 근무년수가 10년이상이었을 경우 급여의 50%를 정근수당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데 대표는 10년 이상이 아닌 호봉(10호봉)을 기준으로 책정했고, 전용차량을 제공받는 대표이사의 직급보조비도 감액 없이 지급됐다”라며 "이는 시가 100% 출연한 예산을 지난 2년 넘게 낭비한 것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재단이 정관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시의회의 협의를 거쳐야 한다. 하지만 재단은 지난해 4월 정관을 변경하며 시의회와 아무런 협의를 거치지 않았다. 시의회를 무시하지 않고서는 있을 수없는 일”이라며 “특히, 재단의 예산 등 중요 운영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한 운영심의위원회가 재단 설립 2년이 지난 상황에서도 설치 되지 않고있는 이유가 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재단 대표이사는 “활동일지 허위 작성은 인정한다. 앞으로 시정해 나가겠다면서도 정관 개정에 있어 의회를 무시한 것이 아니라 최근 의회 협의 규정을 알았다”고 답변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