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생활쓰레기 광역소각장 후보지 조건 미충족 재공모

김포시는 다음 달까지 생활쓰레기 광역소각장 후보지를 재공모한다.

지난달까지 공모한 생활쓰레기 광역소각장 후보지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서다.

27일 김포시에 따르면 시는 4만㎡ 부지에 고양시와 공동으로 광역소각장 건립을 위해 9~10월 공모했다.

그 결과 양촌읍 학운리와 월곶면 갈산리 등 두 곳이 신청해 적합 여부를 조사했다.

하지만 학운리와 갈산리 모두 소각장 건립 조건인 주민 동의율 80%를 충족하지 못했다.

시가 이들 후보지에 대한 주민 동의율 80%의 조건 충족 여부를 조사한 결과 공장과 목장 등에 일반에 알려지지 않은 가구가 있어 학운리는 51.8%, 갈산리는 0% 등으로 나타났다.

시는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인구 70만명에 대비한 광역소각장(하루 500t 규모)을 조성할 계획이다.

시가 고양시와 공동으로 건립을 추진하는 광역소각장은 부지 4만㎡에 하루 500t의 생활 쓰레기를 처리하는 시설로 건설된다.

소각장을 단독시설이 아닌 광역시설로 건립하면 국비 등 지원금을 더 받을 수 있다.

소각장 건립에는 2천억원이 투입되며 국·도비 1천300억원을 지원받고 나머지 700억원은 김포시와 고양시 등이 분담한다.

소각장 지역에는 400억원 규모의 주민 시설이 건립되며 쓰레기 반입 수수료의 20%(연간 16억원)는 주민 기금으로 사용된다.

시 관계자는 “2026년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로 늘어나는 쓰레기 소각 수요에 대응할 수 있게 광역소각장 건설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