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내가 차 한 잔에 패할 줄이야

image
이상용 가평군 관광전문위원

중국 삼국시대, 유비의 책사 제갈공명의 전략에 따라 ‘천하삼분지계’가 완성된 전쟁이 바로 적벽대전이다. 대륙 패권의 흐름을 바꾼 적벽대전에서 조조는 80만 대군을 동원하고도 5만의 오·촉 연합군에 패배해 겨우 목숨만 부지한 채 도망쳤다. 적벽대전에서 패하고 난 뒤 내뱉은 조조의 말은, “내가 차 한 잔에 패배할 줄이야!”라는 한 마디 탄식이었다.

당시 조조는 손권, 유비에 비해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나라의 기틀과 막강한 무력을 갖춘 강자였다. 그는 필생의 대업인 적벽대전을 치르기 위해 대군을 이끌고 양쯔강 유역의 적벽으로 출병했다.

조조가 80만 대군으로 공격해오자 손권과 유비는 5만의 병사로 연합군을 결성하고 주유를 대도독으로 삼아 대비했다. 무려 16 대 1의 전력으로 승산 없는 전쟁을 준비해야 했지만, 그곳에는 천하의 대도독 주유와 천하의 책사 제갈공명이 있었다. 모든 대비태세를 마친 다음 양쯔강 적벽에서의 대회전을 기다리던 마지막 날 밤, 제갈공명과 주유가 마주 앉아 최후 전략을 의논하고 있었다. 그때 미닫이문 밖에서 주유의 아내 소교가 찻잔을 든 채 그들의 대화를 듣고 있었다.

“초저녁에는 북서풍이 불어 조조에게 유리합니다. 밤이 깊어지면 반대로 남동풍이 불어 우리가 유리하겠지만, 조조가 그때까지 공격하지 않고 기다려줄 리가 만무합니다.” 제갈공명이 주유에게 하는 말을 듣자마자 소교는 혈혈단신 조조의 대군영으로 향했다. 그녀에게는 무기 대신 다도(茶道)를 위한 찻잎과 차를 끓이고 행다(行茶)를 하기 위한 다기들이 준비돼 있었다.

초저녁, 공격 개시 시각이 다가오고 있었다. 적벽의 바람은 예상대로 북서풍이었다. 조조는 무장을 한 채 휘하 장수들과 함께 일전을 위해 나섰다. 적벽 강안에 80만 대병력이 공격명령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때 소교가 다도를 준비하고 조조를 멈추게 했다. 소교의 자태를 보자 조조의 가슴이 격동하기 시작했다.

“차는 전쟁에서 이기고 돌아와 맛보겠다.” 그가 짐짓 점잖게 말하자 그녀는 “먼저 차를 드시고 가시지요.”라며 유혹했다. 북서풍이 동남풍으로 바뀌기 직전, 절체절명의 시각에 조조는 그만 미인계에 넘어가고 말았다.

순간, 바람의 방향이 바뀌었다. 기다리던 동남풍이 불어오자 화공작전이 시작됐다. 조조군의 선박과 병졸들은 화공작전에 말려들어 처참하게 스러져 갔다. 나라를 책임지는 지도자에게 아름다운 패배란 있을 수 없다. 수많은 목숨이 걸린 전쟁에서, 지도자의 판단이 잘못되면 곧바로 패배가 찾아온다. 바람의 방향에 따라 전쟁의 승패가 좌우되는 찰나, 차 한 잔 때문에 공격시간을 놓쳐 버린 조조의 감성 리더십은 역사를 바꾸고 말았다. 이렇듯, 필생의 대업을 앞둔 지도자의 차 한 잔과 평소 필부가 음미하는 차 한 잔의 무게는 사뭇 다른 것이다.

이상용 가평군 관광전문위원·경영학 박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