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군사령부(이하 연합사) 이전이 공식적으로 마무리되면서 지난 44년 동안의 주한미군 용산 시대가 막을 내리고 평택 시대가 시작됐다.
연합사는 15일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서 부대 이전 완료와 창설 44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앞서 한미 양국 국방부는 2019년 6월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연합사 평택 이전을 합의했으며, 지난해 12월 제53차 한미안보협의회의에서 2022년 내 이전을 완료키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연합사는 지난달 10월 초 이전을 시작, 지난달 말 이전을 완료했다.
폴 라캐머러 유엔군·연합사·주한미군 사령관은 “연합사 주소지와 환경이 바뀌었지만 한국에 복무한다는 자부심과 국민을 보호한다는 자부심, 철통 같은 한미 유대관계는 변화하지 않았다”며 “평화, 자유 그리고 안보에 대한 애정 역시 변함이 없다. 여러분의 사령관으로 복무할 수 있어 영광이다”라고 밝혔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북한의 위협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연합사의 평택 시대 개막은 큰 의미가 있다”며 “연합사 한미 장병이 든든한 친구이자 전우로 언제나 서로 믿고 의자하며 함께 싸워나갈 태세를 갖춰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58만 시민과 함께 연합사 이전을 환영한다”며 “평택시는 한미 문화가 조화롭게 교류하며 공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국가안보의 핵심도시로서 역할을 해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이전 기념식에 앞서 평택평화시민행동 등 평택지역 시민사회단체는 윤게이트(동창리게이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군기지 주변 주민들은 한미연합군사훈련 기간과 평상시 발생하는 전투기 소음뿐 아니라 군용차량인 험비가 도로에 출몰하고 무기를 실은 군용트럭이 지나갈 때 두려움과 불안을 느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작년 미군기지로 인한 사건사고가 약 440여건으로 지난해에 비해 오히려 170여건 증가했지만, 미군범죄로 피해를 입은 주민을 보호하고 안전을 책임질 곳은 어디에도 없다”며 군사훈련 중단 등을 촉구했다.
평택=안노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