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2종 항만배후단지 개발…주거시설 조속 구축을”

image
10일 평택대 제3국제관 e컨버전스홀에서 열린 ‘평택항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최원용 평택부시장이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평택시 제공

최근 정부가 2종 항만배후단지 규제를 완화키로 한 가운데 평택항 2종 항만배후단지 개발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운수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10일 평택대 제3국제관 e컨버전스홀에서 평택시 주최로 열린 ‘평택항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지난 9일 열린 제2차 규제혁신 전략회의에서 2종 항만배후단지에 위험·유해시설을 제외한 모든 시설이 들어설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 민간투자를 유치하고 지역경제 거점으로 육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선임연구원은 이날 “평택항은 다른 항만에 비해 도심과 항만 간 거리가 멀어 항만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고, 시민의 관심과 애정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항만 종사자의 주거시설과 의료 및 상업 등 편의시설도 전무해 구직시장에서 기피하는 현장이 돼 항만의 종합 성장을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평택항은 수도권에 입지해 막연히 수요가 충분할 것이란 관점에서 다뤄져 정부 투자비와 각종 인센티브 등에 우선순위가 밀렸고 항만 친수 및 지원 기능보다 물류 기능 확충에 초점이 맞춰졌다”며 “평택항 2종 항만배후단지를 개발해 항만지원시설과 주거·인력 공급체계를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센티브 제공 등 화주 기업 유치를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안승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전문연구원은 “평택항은 대(對)중국 교역 거점으로서 탈(脫)중국 국내 기업을 유치할 가능성이 높다. 지자체와 경제자유구역청 등이 유턴기업 유치와 다양한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며 “자동차, 양곡, 시멘트, 철광석 등 비컨테이너 품목과 여객 등을 대상으로 스마트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평택=안노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