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가 올해 인구 감소로 행정조직 확대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인구 늘리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16일 김포시에 따르면 시는 인구 50만명 돌파에 대비한 원활한 업무처리를 위해 현재 6개 국을 7개 국으로 늘리고 공무원 정원도 늘리는 행정조직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매년 늘어나던 인구가 올해 들어 감소세를 보인 탓에 조직 확대 추진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있다.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주민등록 인구 30만명 이상~50만명(외국인 제외) 미만 지자체는 인구 48만명을 초과한 해부터 2년 연속 인구가 증가해야 상시 조직을 7개국까지 늘릴 수 있다.
김포 인구는 지난해 3월 48만명을 초과한 뒤 같은해 12월31일 48만6천508명을 기록해 올해 연말 지난해 말보다 1명이라도 늘면 조직확대가 가능하다. 올해 12월31일 인구가 48만6천509명 이상이면 1개 국을 늘릴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김포 인구는 1월 이후 매월 감소해 9월 말 현재 48만3천845명을 기록했다. 연말까지 석달 안에 2천664명 이상 인구가 늘어나지 않는다면 조직확대는 무산된다.
시는 내년부터 '인구 50만명 이상 대도시 특례'를 적용받아 상급 기관의 행정사무 120여 개를 직접 처리해야 하는만큼 조직확대가 무산되면 행정업무가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앞서 시는 올해 초 개정 지방자치법 시행으로 명목상으로는 인구 50만명 대도시 요건을 갖췄다. 해당 법은 내국인은 물론 등록 외국인과 국내 거소신고 외국 국적 동포까지 포함해 산정하는데, 이를 포함한 인구는 올해 9월 현재 50만2천214명이다.
업무는 늘어나는데 조직은 확대하지 못할 상황에 처하자 시는 인구 하한선을 충족시키기 위해 인구를 최대한 늘리는 대책을 찾고 있다.
시는 최근 공인중개사협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실거주 미전입인구 찾기 캠페인을 시작했다.
시 관계자는 “연말까지 인구를 최대한 늘리는 데 모든 부서가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