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시민단체 “SK 남한강 사용하려면 지역발전방안 제시해야”

image
12일 오전 여주시청 앞에서 여주시 남한강물 이용 상생위원회가 여주시 남한강 물이용 상생촉구 무기한 집회를 하고 있다. 류진동기자

여주시 남한강물 이용 상생위원회(이하 상생위)는 12일 여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SK 용인반도체 클러스터사업 관련 남한강 물을 사용하기 위해선 지역발전방안을 제시하라며 무기한 집회에 돌입했다.

앞서 지난달 7일 남한강변 취수원 인근인 세종대왕면 4개 리(왕대1리, 구양리, 번도2리, 번도3리) 이장들은 이충우 시장을 면담하고 SK측이 제시한 67억원 규모의 보상협의 합의서를 파기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상생위는 이날 오전 11시부터 장보선 집행위원장 등 1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중첩규제로 희생당하며 지켜낸 상수원을 공업용수로 쓰려면 상생방안을 내놓는 게 도리”라며 “여주 220여개 사회단체로 결성된 상생위는 정부 부처 등지에서 무기한 집회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당초 용인반도체산단에 필요한 공업용수를 팔당호 인근 하남에서 취수하려고 했으나 주민 불편을 이유로 하남시가 거절하자 돌연 여주로 취수시설을 옮기겠다고 한 처사는 여주 주민을 무시한 행태라며 남한강 물이용 상생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상생위는 “정부는 국책사업에 협조하라며 여주시를 압박하고 여주시 관계자를 감사원으로 부르는 등 여주 주민의 재산권과 행복추구권을 40년 넘게 제한한 것도 모자라 또다시 희생을 요구하고 있다” 며 “여주시는 규제와 희생으로 소멸의 위기에 처했는데도 물을 끌어가는 지자체는 특례시 지위를 누리는 불평등이 해소될 때까지 투쟁하겠다”고 강조했다.

장보선 상생위 집행위원장은 “SK 측은 하남에서 취수하기로 노선검토까지 마친 용수공급계획을 주민 불편과 민원을 이유로 철회한 이면에는 물이용 부담금의 부과를 회피하기 위한 의도가 숨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며 “당초 계획대로 팔당댐 인근 하남에서 취수할 경우 연간 350억원대 물이용 부담금이 부과될 수 있다는 것을 SK 측은 잘알고 있어 여주로 취수원을 변경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상생위는 8월11일 출범에 이어 9월5일 상생촉구결의대회를 시작으로 정부와 관계 당국의 상생방안정책이 마련될 때 까지 무기한 투쟁을 이어갈 계획이다.

여주=류진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