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화성 전곡항 인근서 발견된 ‘뿔공룡’ 화석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10일 화성시와 문화재청 등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최근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Koreaceratops hwaseongensis) 골격 화석을 국가 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
지난 8월22일 해당 화석을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한 뒤 ▲각계 의견 수렴 ▲문화재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내린 2개월여 만의 결정이다.
2008년 화성 전곡항 방조제 인근서 화석으로 최초 발견된 신종 각룡류(뿔 달린 공룡)인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는 ‘화성에서 발견된 한국 뿔 공룡’을 의미한다.
해당 화석은 발견 당시 엉덩이뼈와 꼬리뼈, 양쪽 아래 다리뼈, 발뼈 등 하반신이 거의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이에 국제적으로 학술 가치를 인정받아 지금의 학명을 얻었다. 현재는 한반도 공룡 연구의 주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은 그간 해당 화석을 통해 약 1억2천만년 전인 중생대 전기 백악기에도 한반도에 각룡류 공룡이 살았다는 점을 파악했다.
또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는 전체 몸길이가 약 2.3m이며 납작한 꼬리를 갖고, 이족 보행을 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이끌어냈다.
최근에는 골격학 조직 연구를 진행, 이 공룡이 대략 8세에 죽었다는 사실을 알아내기도 해 한반도 각룡류 진화과정 등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초로도 떠올랐다.
그만큼 이 화석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건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 그동안 공룡 발자국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적은 있었지만, 공룡 골격 화석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국내에서 발견된 거의 유일한 공룡골격 화석으로, 원형 보존상태가 좋고 신종 각룡류 공룡으로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은 대표 공룡화석으로 가치가 매우 높다”고 말했다.
정명근 시장은 “한반도 최초의 뿔공룡이자 대한민국 대표 공룡화석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으로 시민들에게 널리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당 화석은 현재 화성시 송산면 고정리 산6 공룡알 화석산지 방문자센터에 전시돼 있어 누구나 관람이 가능하다.
화성=김기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