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경기도내 노선버스 파업에 긴급 수송대책 마련

image
경기도 버스노동조합협의회가 노사협상 결렬 시 파업을 예고하자 화성시가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해 긴급 수송대책을 마련했다. 사진은 화성시가 운영 중인 공영버스. 화성시 제공

경기도 버스노동조합협의회(이하 노조협의회)가 29일 예정된 노사 협상 결렬 시 파업을 예고하자 화성시가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해 긴급 수송대책을 마련했다.

이날 화성시에 따르면 시는 노조협의회 파업으로 30일 관내 67개 노선 443대, 관외 33개 노선 394대 등의 버스 운행이 중단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당일 첫차 시간대부터 전세버스 183대를 투입하기로 했다. 출퇴근길 광역버스 16개 노선엔 전세버스 148대를 동원한다.

아울러 ▲병점역 ▲어천역 ▲수원역 등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임시 셔틀버스 7개 노선 30대를 운영한다.

이와 함께 주요 정류장 34곳에 안내 인력을 배치하고, 버스 운행 중단 안내문도 게시해 출퇴근길 혼란을 줄일 방침이다.

또 이번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시 공영버스를 비롯해 시내·마을버스, 개인·법인택시가 출퇴근 시간대에 확대 운행할 수 있도록 협조를 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버스 파업으로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되는 만큼 행정력을 총동원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노조협의회는 이날 오후 3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중재로 사용자 단체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과 2차 노동쟁의 조정회의를 진행 중이다. 협상 시한은 이날 자정까지다.

이번 협상엔 경기도내 47개 버스업체 소속 노조원 1만5천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버스는 1만600여대로, 도내 전체 노선버스의 92%를 차지하는 규모다.

이보다 앞서 지난 23일 열린 1차 조정회의에선 양측이 입장 차만 확인한 채 타협 없이 결렬됐다.

노조협의회 측은 장시간 운전 문제 해소와 저임금으로 인한 운전인력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 준공영제 전면 시행 및 서울시 수준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경유 등 원자재비 상승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토로하며 경기도가 나서 버스 사업의 근본적인 구조를 개선해주지 않으면 노조 측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도는 지난 27일 ▲도지사 임기 내 준공영제 전면 확대 추진 ▲시·군 간 노선 도 주관 준공영제 전환 ▲시·군 주관 준공영제 노선 재정 지원 등의 중재안을 내놨다.

그러나 노조협의회 측은 전날 성명서를 통해 “도 시내버스 전면 준공영제는 누구도 담보할 수 없는 불확실한 확대 시행 추진안이라는 점에서 거부한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사측이 임금과 근로 형태 개선 외에도 버스 내 폐쇄회로(CC)TV를 법에서 정한 목적 외에는 사용을 금해 달라는 등의 단체협약 개정 요구안도 일괄 거부하고 있다”며 “교섭 의지를 보이지 않으면 파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를 두고 사측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 여파로 운송 수익이 연간 3천억원 줄었고 국제 유가도 오르면서 매년 7천억원 수준의 손해가 이어지는 상황”이라며 “경기도와 정부 등의 적극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화성=김기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