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적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는 꿈을 꾸곤 했다. 소스라치게 놀라 식은땀이 흘렀다. 어머니는 어린 아들의 가슴을 쓸어주고 달래주셨다.
▶소행성은 숱한 소설과 영화 등을 통해 다뤄졌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행성 충돌로 지구가 통째로 공중분해될 수도 있으며 우주 공간에서 영원히 사라질 수도 있다.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은 실제로 발생했다. 지구역사에 기록된 세 차례 이상 대멸종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거나 부분적으로 연관돼 있다. 대표적으로 6천600만년 전 백악기 말기에 멕시코 유카탄반도 칙술루브에 떨어져 공룡시대를 마감하고 지구상의 생물 75%를 사라지게 했다. 2013년 2월에도 있었다. 러시아 첼랴빈스크 상공에서 폭발하면서 도시 6곳의 유리창을 박살 내고 1천600여명의 부상자를 냈다.
▶소행성은 약 46억년 전 태양계가 행성을 형성할 때 이용하고 남은 암석 잔해로 모양이나 크기, 성분 등이 다양하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帶)에 몰려있으면서 태양을 돌지만, 목성의 중력 작용으로 서로 충돌해 지구를 비롯한 내행성 쪽으로 밀려든다. 내행성 궤도에 한 번 들어서면 수백만년 동안 궤도를 돌다 태양이나 내행성과 충돌하거나 다시 소행성대나 그 너머로 밀려난다.
▶과학자들은 현재 지구에 4천800만㎞ 이내로 접근하는 지구 근접 천체와 지구 궤도와 교차하는 궤도를 가진 소행성에 주목하고 있다. 지구 근접 천체 중 지름이 140m가 넘는 건 2만6천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름 140m의 소행성은 직경 1~2㎞의 충돌구를 만들며 대도시 하나를 초토화하고 대량 인명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미국 우주선이 27일 지구에서 약 1천100만㎞ 떨어진 우주에서 목표 소행성과 정확히 충돌했다고 외신이 전했다. 해당 우주선은 지구 방어를 위해 소행성에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게 하기 위해 발사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선이 이날 오전 8시14분 운동 충격체가 돼 시속 2만2천㎞(초속 6.1㎞)로 충돌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인류가 소행성 충돌로부터 지구를 방어하기 위한 전략을 실제 소행성을 대상으로 실험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런데, 지구 방어 실험에 핵탄두 대신 우주선을 택한 연유는 무엇일까.
허행윤 지역사회부 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