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에는 ‘수원 세 모녀’ 1천737가구…30일까지 위기가구 조사

화성지역에 ‘수원 세 모녀’와 비슷한 처지에 놓인 고위험 추정 위기가구가 1천737가구거 거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난달 23일 오전, 이틀 전 숨진 채 발견된 수원 세모녀가 살던 수원특례시 권선구 한 다세대 주택. 윤원규기자

화성지역에 ‘수원 세 모녀’와 비슷한 처지에 놓인 고위험 추정 위기가구가 1천737가구거 거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화성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21일 발생한 ‘수원 세 모녀’ 사건을 계기로 이달 1일부터 고위험 위기가구 집중 발굴 T/F팀을 구성했다.

이후 시는 오는 30일 완료를 목표로 ‘고위험 위기가구 발굴을 위한 전수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는 지난 23일까지 건강보험료와 전기료, 관리비 등을 6개월 이상 체납한 고위험 추정 위기가구 1만161가구를 발굴했다.

지역별로는 향남읍이 1천603가구로 가장 많았고 봉담읍(1천117가구), 남양읍(797가구), 진안동(781가구), 동탄7동(477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전체 고위험 추정 위기가구 중 1천737가구는 ‘수원 세 모녀’와 같이 2022년 행복e음 복지발굴시스템 상 비대상자에 포함됐다. 비대상자는 이사와 사망, 정보 불일치 등의 사유로 연락이 닿지 않는 가구를 의미한다.

시는 이에 따라 이들 추정 위기가구에 대한 지속적인 방문 및 연락 시도와 함께 공공·민간기관과 민·관 협의체 등 발굴단위를 다각화해 제2의 수원 세 모녀 사건의 재발방지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대면상담이나 유선상담, 안내문 전달 등을 통해 연락이 이뤄진 위기가구 7천249가구에 대한 지원을 진행 중이다.

상담을 진행한 위기가구를 우선 지원키로 결정하고, 현재까지 공적급여(178가구), 사례관리(26가구), 민간자원연계(494가구) 지원 등을 시행했다.

일례로 시는 뇌병변을 겪는 엄마 A씨와 당뇨를 겪고 있는 아들 B씨가 일정한 소득 없이 지낸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긴급지원책을 마련, 진행 중이다.

시 관계자는 “아직까지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한계는 분명히 존재한다”며 “시는 이런 부분을 지속 개선·보완해 단 한명의 주민이라도 안전하게 지켜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날 화성형농민기본소득 지원사업(농․어민 2만5천630명에게 매월 5만원 지역화폐 지급)과 2040년 화성도시기본계획 수립 관련 ‘희망도시시민참여단’ 모집 및 운영계획 등을 공표했다.

화성=박수철·김기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