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중요수단 떠오른 가로등 LED 교체] 下. ‘LED 가로등’ 탄소중립·경제 두 토끼 잡는다

파주 민자자본 대체 시 재정부담↓...비용 50억·이산화탄소 60% 감소
市, 시의회 승인·용역 발주 완료

기후변화전문가들은 탄소중립수단으로 현행 파주지역 저효율 나트륨계열 가로등을 민간자본으로 유치, 고효율 LED로 교체하면 탄소중립 실현은 물론 시 재정부담도 크게 더는 일석이조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환경부는 2020년 말 공공부문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해 공공조명 가로등을 고효율 전등인 LED가로등 설치를 지침으로 자체 고시했다.

20일 파주시와 기후변화전문가 등에 따르면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 분석 결과 2020년 말 현재 파주지역 탄소감축은 감축 목표량 6천58t 중 외부 감축 없이 내부에서만 1천441t으로 감축률이 33,74%다. 경기도내 31개 시·군 중 22위로 탄소감축순위를 끌어 올려야 할 정도로 시급하다.

기후변화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실지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정책 집행이 손쉬운 공공조명 가로등을 LED가로등으로 교체가 정책수단이 될 것으로 조언했다. 비용도 시 재정부담을 크게 더는 민자유치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K통신이 한국환경공단에 의뢰한 자료를 보면 파주의 잔존 5만여 나트륨계 공공조명 가로등을 시 재정을 들여 LED로 전면 대체하면 사업비는 370억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2년 전 자료로 올해 당장 도입하면 비용상승은 20~30% 더 늘 것으로 보인다.

실제 파주 재정사업을 민자자본으로 대체하면 사업비는 310여원으로 50여억원 이상 절감되는가 하면 이산화탄소 60% 절감(1만2천여t 낮아짐) 미세먼지도 14t 급감으로 60% 절감된다. 시민안전 측면에서도 시민 1명당 이산화탄소가 24㎏ 감축되는 가대효과가 있는데 이는 정부의 국민 1명당1g 줄이기 보다 엄청난 감축량이다.

민자와 시 재정과의 기회비용 비교도 분석됐다. 시 재정으로 향후 7년 동안 운영할 경우 전기료는 120억원이지만 민자는 210억원으로 약 90억원을 아끼는 기회비용을 가져온다. 탄소감축량은 이 기간 시 재정이 5만2천800t이나 민자는 8만4천t으로 3만1천여t을 더 감축한다.

기후·보건전문가인 남궁선주 박사는 “탄소중립은 국가아젠다로 거창하지만 지역마다 실천가능한 분야에 성과를 내기 위해 집중화해야 결실을 맺는다. 환경부지침에 따라 LED 가로등 교체도 한 분야”라고 강조했다.

시 관계자는 “관련 법령에 따라 시의회 승인을 받아 관련 용역을 발주했다. 결과를 살펴 보겠다”고 말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