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는 정조대왕 능행차가 문화재청 ‘2023년 미래 무형문화유산 발굴 및 육성사업’ 공모에 선정되면서 국비 7천만원을 확보하게 됐다고 20일 밝혔다.
정조대왕 능행차는 정조가 을묘년(1795년) 한양 창덕궁을 출발해 수원 화성을 거쳐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이 있는 화성 융릉까지 참배하러 간 조선 최대 규모의 왕실 행렬이다.
시는 이를 보존·계승키 위해 그간 을묘년 원행을 주제로 ‘정조 효문화축제’를 개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화성성역의궤’와 ‘원행을묘정리의궤’를 참고한 능행차 재현 행사를 진행해 왔다.
아울러 국내·외 석학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학술조사와 세미나 등을 진행해 정조대왕 능행차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해 왔다.
시는 이번 사업 선정을 계기로 향후에도 ▲정조대왕 능행차 근현대 전승 양상 자료 발굴 및 정리 ▲정조 역사문화권 능행차 관련 무형문화유산 학술조사 ▲정조대왕 능행차의 무형문화유산적 가치 연구와 학술세미나 및 총서 발간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명근 시장은 “앞으로 정조대왕 능행차와 관련해 지역별 전승 현황과 역사, 기록 등을 연구하겠다”며 “(정조대왕 능행차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다음달 8~ 9일 ‘2022 정조효문화제’를 개최한다.
화성=김기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