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동부 주민 동부고속道 고덕광역道1B 지하화 요구

image
평택 동부고속화도로 고덕광역도로 1B 구간 건설을 두고 평택 동부지역 주민들이 지하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은 1B 구간 노선도. 평택시 제공

평택 동부고속화도로와 고덕국제신도시를 잇는 동부고속화도로 고덕광역도로 1B구간 건설을 놓고 동부지역 주민들이 지하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19일 평택시에 따르면 동부고속화도로 고덕광역도로 1B구간은 동부고속화도로 도일교차로에서 고덕국제신도시를 잇는 길이 3.5㎞ 도로다. 해당 구간은 교차로 상하행 램프를 포함, 지방도 317호선 위를 지나는 지상 구간으로 설계됐으며 건설 시 토지 13만2천231㎡ 162필지를 수용한다.

이 구간을 두고 인근 토지주들은 지하화로 목적변경을 검토해달라고 주장 중이다. 지상으로 도로가 건설되는 데다 램프까지 지어지면 과도하게 토지가 수용된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이와 함께 ▲전용도로는 도로의 성격상 진입이 불가해 주민 이용이 어렵다는 점 ▲개발행위 불가로 토지주들의 재산권 침해 ▲자동차 전용 고가도로 개설로 브레인시티와 장안마을 간 단절 등도 지하화 요구의 근거로 들었다.

앞서 토지주와 장안마을 주민 등 100여명은 지난 6일 중앙동행정복지센터에서 ‘자동차 전용 고가 고속도로(고덕광역도로1B)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집단행동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이교행 대책위원장은 “이 도로는 평택 동부지역의 도시가 개발되기 전에 추진된 도로로 동·북부 6개 지역의 도시개발사업이 추진되는 현 시점의 활용 가치가 고려되지 않았다”면서 “왜 고덕신도시를 위해 동부지역 주민과 피수용 토지주들이 피해를 감수해야 하느냐”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해당 구간은 급경사로 인해 지하화하기엔 도로시설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구간이다. 지하화 시 지형문제로 구조상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안노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