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한강신도시 등 공공택지 준공後 첫 기반시설 재정비

김포 한강신도시 등 LH가 추진한 공공택지의 미매각 공공용지가 대부분 주민복지시설로 용도가 바뀔 전망이다.

이와 함께 이들 공공택지의 지구단위계획 가운데 현실에 맞지 않은 계획에 대해선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을 개정하는 재정비도 이뤄진다.

1일 김포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지난해부터 1년여 동안 추진해온 한강신도시 등 공공택지의 기반시설(공공용지) 재정비와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개정안 등에 대한 최종 용역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재정비용역에 담은 공공택지는 한강신도시와 양곡택지, 마송택지지구 등으로 최종 준공일은 한강신도시가 2017년, 양곡택지 2011년, 마송택지 2020년 등이다.

현행 지침상 준공일로부터 5년 동안은 준공 당시 수립된 지구단위계획을 유지해야 하지만, 공공시설용지 용도 재검토나 공공시설 설치 또는 변경을 위한 경우는 5년 제한과 관계없이 정비할 수 있다.

한강신도시와 양곡택지 등은 준공된지 5년이 경과해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도 개정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들 공공택지 내 미매각 공공용지는 한강신도시가 13곳(13만8천142㎡), 양곡택지 5곳(2만6천465㎡), 마송택지 3곳(4천466㎡) 등이다. 대부분 방송통신시설용지와 유치원용지 등으로 택지에서 부족한 공공시설용지로 변경해 현실에 맞게 탄력적으로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용역을 통해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는 용도는 주민복지시설이다.

앞서 시가 한강신도시 내 만 20세 이상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가장 필요한 공공시설은 종합의료시설과 문화예술회관, 보건소, 소방서 등의 순으로 안전 및 건강과 관련된 시설에 대한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병수 시장은 “이번 용역으로 도시기능 강화를 위해 가장 적합한 공공시설 용지 확보 방안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행지침 완화 방안 등을 공공성의 목적으로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반시설(공공용지) 재정비 용역은 하반기 주민공람을 통해 공개돼 의견을 들은 뒤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 등 행정절차를 거쳐 새로운 지구단위계획으로 확정돼 시행될 예정이다.

김포=양형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