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가 기흥과 원삼을 ‘ㄴ자형’으로 잇는 시의 주요 전략 중 하나인 용인 반도체 벨트를 위한 ‘용인시 반도체 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만든다.
28일 용인특례시에 따르면 반도체산업 육성 종합계획에는 기흥과 처인구를 잇는 반도체 벨트를 만들고, 지역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전문 인력 양성, 원스톱 행정 시스템 구축 등을 담는다.
기흥구에서 처인구 원삼면까지 'ㄴ자'형태로 잇는 용인 반도체 벨트는 시의 주요 전략 중 하나다. 기흥구 일대에 들어설 '용인플랫폼시티'에 소부장 연구 및 제조시설을 늘리고, 삼성전자 기흥캠퍼스 확충, 램리서치·세메스 등 반도체 장비기업 등의 투자를 이끌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처인구 이동읍에는 제2용인테크노밸리를 만들고, 원삼면에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를 조성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반도체 생태계를 만든다는 전략인 셈이다.
용인의 동서를 관통하는 ‘반도체 고속도로’ 건설계획도 포함됐다. 반도체클러스터에 50여곳의 반도체 소부장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협력화단지(45만㎡ 규모)를 조성키로 했다. 노선 주변에 반도체 소부장 기업을 위한 신규 산단을 조성한다.
이뿐만이 아니다. 시는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하고자 관련 교육과정을 단계별로 운영하고, 반도체·AI고등학교 설립 및 지역 내 대학의 반도체 학과 개설을 위한 지원과 노력 또한 기울이기로 했다.
이 밖에도 시는 ‘반도체산업 육성 및 지원조례’도 준비 중이다. 조례안에는 종합계획 수립에 대한 근거와 함께 ▲용인시 반도체산업 경쟁력강화위원회 운영 ▲산·학·연·관 협력체계 구축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11월께 용인특례시의회에 제정안을 상정할 방침이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반도체 산업은 국익을 위한 정부의 핵심 전략 산업”이라며 “용인시가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용인=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