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산콘크리트산업㈜ 3D 프린팅 친환경 인공어초 개발

image
동산콘크리트산업에서 개발한 인공어초. 동산콘크리트산업(주)제공

여주시 소재 동산콘크리트산업㈜(회장 전진용)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인공어초를 개발했다.

이 회사는 여주시 등지에서 1984년부터 호안블록, 맨홀, 수로관, 보강토 블록 등 다양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생산, 개발을 통해 친환경적인 콘크리트제품 전문생산 중소기업이다.

서대석 동산콘크리트산업㈜ 연구소장은 환경친화적 콘크리트 제품 생산을 위해 꾸준한 기술개발을 진행, 조달청 우수제품, 환경신기술, 중소기업청 성능인증. 우수발명품, KS, MAIN Biz, 단체표준 인증 등의 품질인증과 친환경제품 분야, 콘크리트 3D 프린팅 분야 등 제 4차 산업분야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다.

특히 3D 프린팅 분야에 있어서 콘크리트 3D 프린팅 기술을 인공어초 제조에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회사는 3D 프린팅 인공어초개발에 힘입어 ‘3D 프린팅을 이용한 콘크리트 인공어초’로 조달청에서 2020년 9월 혁신시제품을 인증 받았다.

또 해양수산부에서 진행하는 해양복원을 위한 탄소저감형 고강도 저알칼리 3D 프린팅 인공어초 개발 및 사업화와 ‘블루카본 증대를 위한 세라믹계 해양인공구조물 개발’ 연구사업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기존의 인공어초는 정형적인 형상과 미끄러운 표면으로 해양생물의 부착성능이 감소하고 해양생물의 서식공간 형성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어려운 반면에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인공어초의 경우 기존 제품의 한계성을 극복하여 해양생물의 부착성과 서식공간 형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동산콘크리트 자회사 전덕준 3D아트웍스 대표는 “콘크리트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인공어초의 경우 인공어초 표면부에 요철부를 형성해 해양생물의 부착 및 서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며 “해양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해 해양환경 개선, 해양생태계의 복원 및 어민들의 소득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여주=류진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