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노사민정 "외국인 근로자 관리전담인력 양성 필요"

16일 평택시노동자복지회관에서 열린 ‘평택형 외국인 근로자 관리방안 토론회’애서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안노연기자

매년 늘고 있는 평택지역 외국인 근로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려면 전담 기구와 인력 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평택시노사민정협의회는 고용노동부 산하 사단법인 글로벌취업지원센터와 함께 16일 평택시 노동자복지회관 3층 대회의실에서 ‘평택형 외국인 근로자 관리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는 현행 외국인 관리문제를 검토해 체계적인 외국인 근로자 관리방안을 제시,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과 기업의 노동생산성을 향상하는 상생 방안을 마련하고자 마련됐다.

평택시에 따르면 올 6월 기준 주한미군 제외 총 2만4천409명의 외국인이 평택에 거주하며 경제생활을 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향후 더 많은 외국인이 유입될 전망이다.

이날 평택형 외국인 근로자 관리방안을 주제로 기조발제를 맡은 이용석 대한행정사회 이민행정분과 교수는 전담 기구와 인력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교수는 “영세제조업, 건설업, 농업 등은 근로조건이 열악해 외국인을 고용해 사업을 영위하나 정작 고용외국인은 사업장환경 등을 모르고 입국하는 구조라 임금과 근로환경 등에 불만을 품고 이직이 잦은 실정”이라며 “불법체류 다발국가 유학생의 경우 입학을 발판 삼아 산업현장에서 근로, 무단으로 학교를 이탈하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외국인 근로자지원센터 설립, 외국인 근로자 관리 전담인력 양성, 법무부 지역 특화형 비자 시범 사업에 따른 전담인력 확보 등을 통한 효율적인 관리체계 구축 필요성을 역설했다.

정지윤 명지대 산업대학원 교수도 전담 기구와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저출산 및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외국인 인력에 대한 한국어, 한국문화‧생활에 대한 의무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전문성을 갖춘 중앙기관인 이민청 설치, 외국인 근로자 관리사 양성 및 지자체 파견, 체류 외국인 의무교육 등을 강조했다.

평택=안노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