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여곳 전통시장 상인들·마트 근로자들 반발…"시장 경쟁력 높여야" 지적
“코앞에 있는 대형마트와의 경쟁도 버거운 데 휴무제 폐지라뇨…저희는 어떻게 삽니까.”
정부가 대형마트의 월 2회 휴무제 폐지를 검토하려고 하자 경기도내 150여곳의 전통시장 상인들과 마트 근로자들이 반발하고 있다.
12일 오전 10시께 안양호계종합시장. 이곳 반경 약 600m에는 홈플러스 안양점이 떡 하니 버티고 있었다. 해당 대형마트는 전통시장(전통상업보존구역) 반경 1㎞ 이내에 대형마트 출점을 불허하는 유통산업발전법이 제정되기 이전에 들어서 이러한 규제를 피할 수 있게 됐다.
방앗간을 운영 중인 양일모씨(50)는 “대형마트의 전국구 유통망과 달리 시장은 지역 도매시장 기반”이라며 “상인들이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마트보다 더 싸게 팔 수도 없는데, 대기업과 경쟁하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뿐만 아니라 도내에선 규제를 교묘히 벗어난 대형마트, 준대규모점포 등으로 상인들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일례로 이마트 산본점은 군포시 산본전통시장과 1.1㎞ 떨어져 있다. 유통산업발전법 반경 1㎞ 이내의 출점 제한을 ‘턱걸이’로 피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말 정부가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를 논의 과제로 선정하자 상인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경기도 시장상인엽합회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의무 휴무일로 전통시장 상인은 평균 40% 매출액 상승효과를 본다. 특히 채소, 육류 등에 대한 수요가 몰리나 이러한 휴무일이 폐지될 경우 상인들의 매출 증대 꿈은 물거품이 돼 버린다.
이충환 경기도 시장상인연합회 회장은 “의무휴업일마저 폐지돼 버리면 시장 상인들은 벼랑 끝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현 기조를 이어 나갈 시 전국 연합회를 통해 공동 대응하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허경옥 성신여대 소비자생활 문화산업학과 교수는 “정부 주도로 매번 규제가 바뀌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며 “지자체가 문화 행사 등을 열어 사람이 모이게 하는 등 시장의 경쟁력을 높여 시장과 대형마트의 선의의 경쟁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마트 노동자들도 이번 정부의 논의 방침에 반발하고 있다. 김동우 마트산업노조 경기본부 사무국장은 “논의도 없이 변경한다니 문제다. 결국 노동자가 아닌 마트만을 위한 것”이라며 “노동자를 위해 휴무일을 월 2회에서 매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병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