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더 괴로운 ‘햇빛 알레르기’

자외선·당뇨 등 약물 복용에도 유발
창 넓은 모자·차단제 수시로 사용을

기온이 높고 햇빛이 뜨거운 여름이다. 이 시기엔 자외선 노출에 주의해야 한다. 강한 자외선은 기미와 주근깨 같은 피부 색소 침착을 시킬 뿐 아니라 고통을 동반하는 햇빛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햇빛 알레르기란 광 알레르기 반응으로 빛에 의해 피부의 알레르기 면역세포들이 활성화돼 일어나는 반응이다. 태양 광선에 노출된 후 수분 이내에 노출된 부위의 피부에 가려움이나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햇빛에 노출 후 피부가 붉어지거나 붓고 물집이나 습진이 생길 수 있으며 가려움, 통증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햇빛 알레르기가 생기는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자외선이 주요 원인인 것은 확실하다. 특히, 자외선 A와 B의 영향을 받는다. 이 자외선들이 표피와 진피를 투과해 표피 밑의 면역세포를 자극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외에도 약물에 의해서 반응을 보일 수 있는데 항생제, 당뇨약, 고혈압약, 이뇨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강한 자외선에 노출될 때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같은 알레르기는 관리하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 햇빛을 피하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자연적으로 증상이 잦아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선, 태양이 가장 밝은 오전 10시~오후 4시까지는 직사광선의 노출을 피하는 것이 좋다. 외출이나 야외활동을 피할 수 없다면 긴팔 옷을 입고 창이 넓은 모자를 쓰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자외선차단제를 자주 발라야 한다. 자외선차단제는 SPF 15~30 이상, PA++ 광범위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고 2시간 간격으로 계속 바르는 것이 효과적이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해 항생제를 처방 받는 것이 좋다.

김은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