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가 최종 인수예정자로 선정된 KG컨소시엄과의 투자계약 내용을 반영한 회생계획안을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했다.
쌍용차는 KG컨소시엄의 인수대금 3천355억원을 변제재원으로 한 채무변제 계획과 최종 인수예정자의 지분율 보장을 위한 주주의 권리변경 방안 등을 담은 회생계획안을 냈다고 27일 밝혔다.
회생계획안에 따르면 총 변제대상 채권은 약 8천186억원이다. 이 중 회생담보권 약 2천370억원, 조세채권 약 515억원 등은 관련법에 따라 전액 변제하기로 했다.
또 대주주 마힌드라의 대여금 및 구상채권 약 1천363억원을 제외한 회생채권 약 3천938억원 중 6.79%는 현금 변제하고 93.21%는 출자 전환한다.
이에 따라 출자 전환한 주식가치를 감안한 회생채권의 실질변제율은 약 36.39%이다. 대주주의 대여금 및 구상채권 등은 5.43%는 현금 변제하고 94.57%는 출자 전환한다. 이는 일반 회생채권 변제율의 80% 수준이다.
대주주인 마힌드라의 보유 주식은 액면가 5천원의 보통주 10주를 1주로 병합, 출자전환 대상 회생채권에 대해 채권액 5천원당 액면가 5천원의 신주를 발행한다. 이후 보통주 3.16주를 1주로 모든 주식을 재병합한다.
이 과정을 거쳐 인수대금 3천355억원에 대해 1주당 액면가 및 발행가액 5천원의 신주를 발행하게 되면 인수인은 약 58.85%의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
정용원 쌍용차 관리인은 “회생계획안의 채권 변제율 등이 채권자 및 주주 등 이해관계인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회생계획이 인가될 경우 추가적인 운영자금 유입으로 공익채권 변제와 투자비의 정상적인 집행이 가능, 지속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채권자 등 이해관계인들도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회생계획 인가 후 인수인인 KG컨소시엄이 공익채권 변제 및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약 5천645억원을 추가로 유상 증자하는 내용을 포함했다”며 “회생계획안 제출 이후에도 인수인 및 이해관계인들과 채권 변제율 제고방안 등을 계속 협의, 관계인집회 직전에 제출하는 회생계획안 수정안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평택=안노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