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는 사라져가는 안양 포도를 위해 지난 2017년 7월13일 ‘안양 포도 보존·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조례에 근거해 매곡공원을 안양 포도 육성 및 지원을 위한 포도단지 등으로 추진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국토부가 장기 미집행 공원부지를 활용해 아파트를 조성하는 택지개발 계획을 발표하는 바람에 안양 포도의 옛 명성을 되찾을 수 있었던 기회가 사라졌다. 결국 국토부의 난개발 방지 등을 운운하는 일방적인 정책 추진으로 안양 포도공원 조성사업은 말살된 것이다.
시는 장기 미집행 공원부지의 일몰제와 주민의 재산권보호, 난개발 방지 등을 고려해 안양포도 브랜드화 사업을 추진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시는 지난 2019년 총사업비 85억원을 투입해 매곡공원에 포도공원사업 추진키로 하고, 69억원의 토지보상비를 편성했다. 특히 포도공원을 조성한 후 생산, 제조, 가공을 통해 와인 판매와 관광, 체험 및 견학(3차 산업)으로 관광명소화로 탈바꿈하는 동시에 1차·2차·3차 산업을 아우르는 6차 산업을 통해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계획을 수립한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정책은 국토부의 택지개발 정책으로 출발조차 하지 못하고 좌초됐다. 안양포도 조성 사업이 국토부에 의해 묵살되고, 탄압을 받았는데도 시와 시의회는 어떤 대응조치를 했는지 몹시 궁금하다. 또한, 그 당시 시민들에게 잘 진행되고 있는 포도공원조성 사업이 왜 폐기됐는지에 대해서도 일체 설명이 없었고, 그에 따른 향후 계획조차 발표하지 않았다.
1960년대 초 안양 포도는 전국적인 명성을 가졌지만, 현재는 당시 규모로 조성할 가용토지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대규모 포도공원 조성은 엄두도 낼 수 없는 상황이다. 가용 토지가 부족하지만, 그래도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은 관악산 기슭에 있는 비산·관양권에 위치한 비산공원(근린공원)과 개발제한구역이다. 안양포도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법적 검토와 시의 강력한 추진력이 뒷받침돼야 한다. 시가 기존의 공원과 개발제한구역 등을 활용한 포도공원을 조성하려면 법적 제약이 뒤따른다. 이는 당초 계획을 묵살한 국토교통부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안양포도를 관광 상품화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시와 시의회는 포도공원 조성사업에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다수의 안양시민은 포도 육성과 지원을 통해 도시화 물결에 밀려 사라지고 있는 지역 명물인 안양 포도의 부활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재민 前 안양시의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