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가 오는 2025년까지 219억원을 들여 환경교육도시를 조성키로 했다.
20일 용인특례시에 따르면 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환경교육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해당 계획은 올해 환경교육도시 지정을 목표로 환경교육도시 기반 마련, 학교환경교육 활성화, 사회환경교육 강화, 환경교육 협력 확대 등 4개 분야 16개 추진과제로 구성됐다.
시는 앞서 환경교육도시 지정을 목표로 지난해 8월 환경교육 전담팀을 신설하고 같은해 9월 13개 환경단체와 환경교육도시 추진을 공동 선언하는 등 관련 절차를 이행해 오고 있다.
이번에 수립한 1차 계획에는 학교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초·중·고교 대상별 맞춤 환경교육 계획이 담겼다.
유아들에게는 지역 내 유아숲체험원 등을 활용해 환경·생태교육을 진행하고 초·중·고교 학생들에게는 맞춤형 교육교재를 개발해 교과 연계 환경교육을 시행한다.
이와 함께 청소년이 직접 환경 정책을 제안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환경교육 우수 학교도 지정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사회 환경교육 분야에선 지역 특성을 고려한 용인형 환경교육을 추진하고, 다양한 계층의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풀뿌리 평생학습 환경교육 프로그램과 자원순환운동 등도 진행한다.
이밖에 환경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인적자원 지원과 환경교육단체 지원도 체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환경교육도시는 지역 구성원의 참여로 환경교육을 활성화하고 환경교육 롤모델을 확산하기 위해 환경부가 지난 2020년부터 광역·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정하고 있다.
촤근까지 전국에서 광역 지방자치단체 2곳(부산, 충남), 기초 지방자치단체 2곳(수원시, 성남시) 등이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됐다.
용인특례시 관계자는 “제1차 환경교육계획을 통해 시민 누구나 쾌적한 환경을 누리고 지킬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겠다”며 “시민 참여를 확대할 수 있도록 거버넌스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용인=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