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설에 폭행까지…용인시 공무원들 악성 민원에 고통

악성 민원에 피해를 호소하는 용인 공무원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 사진은 용인특례시 종합민원상담창구. 김경수기자

“적응할 법도 한데 너무 힘드네요”

용인특례시 기흥구에서 근무하는 40대 공무원 A씨는 최근 불쾌한 경험을 했다. 불법 주정차 단속에 항의하던 50대 민원인이 갑자기 자신의 주머니 속에 있던 라이터를 던졌기 때문이다.

비말 투명가림막에 맞고 튕겨 나갔지만, 민원인은 분이 풀리지 않았는지 욕설과 협박을 상당 시간 지속했다. 청원 경찰 2명이 해당 민원인을 제지하고 나서야 난동은 비로소 끝났다.

A씨는 “이건 아무 것도 아니다. 직접 찾아와 행패를 부리는 민원인보다 전화로 입에 담지 못할 욕설을 퍼붓는 사례가 훨씬 많다”며 “그런데도 우리(공무원)는 공직에 몸담고 있다는 이유로 참아야만 한다”고 호소했다.

용인특례시청에서 근무하는 40대 공무원 B씨도 마찬가지다. B씨는 몇달 전 종합민원상담창구에서 50대 민원인과 도시 개발 관련 상담 도중 욕설과 함께 자신을 주먹으로 때리려고 해 당황했던 당시를 회상했다.

B씨는 도시 개발은 특성상 민감한 사안이어서 이해할 때까지 차분히 설명을 이어갔지만, 들으려 하지 않고 부당한 사항들만 계속 고집하는 민원인을 바라보며 그때처럼 모욕적이고, 힘들었던 적은 없었다고 토로했다.

악성 민원에 피해를 호소하는 용인 공무원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 폭언과 난동, 폭행 등 위법 행위가 증가하고 있는데도 공무원들을 적극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부족해서다.

22일 용인특례시에 따르면 폭언·욕설, 성희롱, 신변 위협, 폭행 등의 위법행위 관련 악성 민원은 지난해 기준 2천74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무려 1천428건이나 증가한 수치다.

경남 함안군청 공무원이 웨어러블 캠을 목에 두른 채 민원인과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함안군 제공

악성 민원에 대한 처리 방안을 담은 대응 매뉴얼이 있는데도 정작 공무원들은 아무런 보호를 받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공무원들은 더 나은 행정 서비스를 위해서라도 법적으로 공직자들을 보호해줄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김창회 용인특례시 행정과 총무팀장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운영해오던 종합민원상담 창구가 민원인과 직원들로부터 만족도가 높아 지난 4월부터 상시 운영 중이다. 폭언과 폭행 등 악성 민원으로부터 직원들을 보호하고자 시범적으로 ‘웨어러블 캠(카메라)’ 도입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용인=김경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