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 전문가들 “인천시장 후보 공약, 유정복 구체성·박남춘 재정성·이정미 현실성 부족”

인천지역 전문가들은 6·1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인천시장 후보들의 5대 공약에 대해 국민의힘 유정복 후보는 ‘구체성’,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후보는 ‘재정성’, 정의당 이정미 후보는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23일 경기일보는 지역 대학교수, 시민단체 활동가 등 5인의 지역 전문가에게 요청해 인천시장 후보들의 공약을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후보들이 이번 공약에 경제·개발·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담으려 한 점에 의미를 두고 있다.

하지만 공약의 차별성과 구체성, 재정지원 방안 등의 부족으로 실행 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영태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유 후보의 일부 공약이 국민의힘 당론과 충돌하는 부분이 있어 실현 가능성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고, 구체적인 정책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박 후보의 공약은 지난 4년 동안 펼친 정책을 보강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 방안까지는 제시하지 못한다고 봤다. 이 후보의 공약은 실현 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서종국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는 유 후보의 공약은 개발논리에 치중한 한계가 있고, 대규모 이상적인 사업을 제시해 구체성이 떨어진다고 평가했다. 박 후보는 선택과 집중에 의한 핵심 공약을 제시하지 못했고, 각 사업의 재원조달 방안이 구체적이지 못한 점을 문제삼았다. 이 후보에 대해선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강조한 공약을 실행하기까지 현실성은 낮다고 봤다.

변병설 인하대 행정학과 교수는 유 후보가 뉴홍콩시티, 100조 시대 제2경제도시 등에 대한 공약을 구체화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박 후보에 대해서는 농어민 공익수당 등 각종 수당 지급과 무상지원 공약이 선심성 행정이어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봤다. 이 후보의 공약은 탄소발생이 이뤄지는 산업지역의 개조 전략이 부족하다고 봤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유 후보는 수도권매립지 향후 활용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없는 상황에서 실천 방안의 구체성이 필요하고, 박 후보는 우선순위 공약들의 재원 확보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점을 꼽았다. 이 후보의 ‘인천시 공동정부 구성’ 등의 공약은 구체적인 방향을 가늠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박요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들 후보들 모두 40~60세까지 생활전선에 생계와 생존을 위해 일하는 여성과 남성을 위한 지원이 없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또 세 후보의 공약이 세세한 면에선 다르지만 큰 틀에서 유사하다고큰 틀에서 유사하지만 차별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지역의 일꾼을 뽑는 지방 선거라 그럴 수 있다고 이해하지만, 각기 정당을 대표해 나온 후보임을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각 정당이 표방하는 이념과 가치를 각 후보가 어떻게 공약과 연결하고 또 반영하려 했는지에 대한 설명의 시도와 노력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