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결절, "양성이라해도 방치해선 안 돼"

image

갑상선에 종양이 생기는 갑상선 결절은 상대적으로 흔한 내분비질환이다. 갑상선 세포 과증식으로 혹이 생기며, 전체 갑상선 결절(혹) 환자의 5% 정도만 악성종양(암)으로 발견된다. 전문가들은 나머지 95%가 암이 아닌 양성 결절로 진단ㄷ되었다 하더라도 절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갑상선 결절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요오드 부족이 갑상선 결절의 원인으로 추정되나, 우리나라는 미역 등 요오드 식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만큼 크게 해당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갑상선 결절은 특별한 다른 증상이 없다가 대부분 건강검진을 통해 발견된다. 결절이 크게 진행됐을 경우, 갑상선 결절이 몸 밖에서 만져지거나 튀어나와 보이기도 하고 간혹 삼키기가 어렵거나 목소리에 변화가 오기도 한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 중 결절이 발견되면 초기병력, 신체검사, TSH 혈액검사 등검사 결과에 따라 정확한 암 여부 확인을 위해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시행한다. 피부에 국소 마취를 한 후 2~3차례 가는 바늘을 이용해 갑상선 결절에서 세포 및 낭액을 채취하고 현미경으로 암세포를 관찰하는 것이다.

세침흡입세포 검사 결과 양성 결절로 판명이 나면 대부분 6~12개월 간격으로 진찰과 초음파 검사를 통해 결절의 크기나, 모양, 개수 등을 확인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경기도지부 관계자는 “결절 크기가 너무 커서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거나 호흡에 방해가 되면 수술로 결절을 제거해주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대로 조직검사에서 악성으로 나오면 대부분 갑상선에 생기는 유두암으로 수술을 통해 제거한다. 재발 방지를 위해 대부분 결절이 없는 갑상선까지 모두 제거해주는 게 통상적”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