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취를 감췄던 대형마트 자율포장대의 테이프와 노끈이 부활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작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냉랭한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이미 적응을 마친 상황인 데다 환경문제 등을 고려했을 때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10일 정부 등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후보 당시 ‘대형마트 포장대 복원·친환경 개선’과 관련된 공약을 제시했다. 대형 마트 포장대에서 사라졌던 테이프와 노끈을 친환경 종이 소재로 다시 비치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정작 불편함을 겪었을 것으로 보이는 소비자들은 이미 정착된 문화를 뒤집어야 하냐면서 의구심을 표하고 있다. 실제로 이날 대형마트에서 만난 이용객들은 대부분 종이 테이프·노끈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는 반응을 보였다.
군포시 산본동의 한 대형마트에서 만난 백찬우씨(가명·50)는 “박스보다 장바구니를 이용하는 게 훨씬 편하다”면서 “박스 또한 집에 가져가면 쓰레기가 된다”고 말했다. 계산대에서 종량제 봉투를 구매하던 김지혜씨(가명·71·여)는 “어차피 종량제 봉투도 필요하고, 물건을 담아가면 되니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박스가 다시 생겨도 쓰지 않을 것 같다”고 답했다.
안양시 동안구의 한 대형마트에서도 시민들은 큰 불편함 없이 마트를 이용하고 있었다. 계산을 마치고 나오는 손님 10명 중 7명은 개인 장바구니를 휴대하고 있었고, 그렇지 않은 손님들은 종량제 봉투를 구매해 물건을 담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에서는 종이 테이프와 노끈을 도입할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일선 대형마트들은 혼란에 휩싸인 모습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장바구니 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해 왔는데, 다시 필요할까 의문이 든다”면서도 “소비자 편의가 최우선인 만큼 정책 변경 시엔 고객들의 반응을 고려해 움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환경부 관계자는 “아직까진 자율포장대 협약 개정 관련해 검토 중인 사안은 없다”면서 “2년간 자리 잡은 정책을 쉽게 손볼 수 있을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