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과 속 달랐던 후보자, 이번에도 믿으라고요?”
6·1 지방선거가 20일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110만 용인특례시를 이끌 지방선거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은 여전히 미온적이다.
10일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용인특례시는 현 시장인 더불어민주당 백군기 예비후보와 국민의힘 이상일 예비후보가 시장 자리를 놓고 첨예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여야 광역·기초의원은 현재까지 36명.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후보자들이 내건 수많은 공약과 흑색선전 등이 난무하면서 피로감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다.
이날 오후 처인구 용인중앙시장. 청과점을 운영하는 A씨(46)는 지방선거로 인한 스트레스가 벌써부터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토로했다. 시장은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에게 있어 ‘성지’와도 같은 곳이다. 그는 선거철만 되면 좁은 왕복 2차선 도로가 막히면서 심각한 교통체증과 확성기 등에 따른 소음 공해까지 발생해 '수익보다 불쾌지수만 높아지는 시기'라며 피해를 호소했다.
A씨는 “선거철에만 반짝 자신(후보)들의 홍보 수단으로 상인들을 이용하고, 곧바로 자리를 또 뜰 것이 뻔하다"며 “그 나물에 그 밥이다. 그저 조용히 선거가 지나가길 바랄 뿐”이라고 푸념했다.
주민 B씨(50·기흥구)도 마찬가지다. 그는 코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 손사래를 쳤다. 선거 때마다 이번 당선자는 다르길 바랬지만, 결과는 똑같았다.
B씨는 “한번은 당선자가 내건 공약 중 하나라도 지켜 달라며 구청과 시청 등을 수차례 찾아가 민원을 제기했지만, 나아진 건 아무 것도 없었다”며 “당선자의 공약 미이행에 따른 강력한 조치가 있어야만 더 많은 시민들이 지방정치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민들은 매번 선거 때마다 되풀이되는 후보들의 공약 남발과 당선 후 달라진 모습 등에 허탈감을 호소하고 있다. 그러면서 지방정치를 위한 적극적인 논의와 실효성 있는 해결방안이 나와야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내 정치는 모두 중앙에 집중돼다 보니 오래 전부터 지방정치 영향력이 크게 떨어져 왔다”면서 “지자체장이 바뀌면 그만큼 정책의 많은 부분이 변한다. 지금부터라도 유권자를 대상으로 후보자를 검증할 수 있는 법적 제도, 유권자들 스스로 지방정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대책들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용인=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