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특례시 처인구 이동면 서리 고려백자요지(사적 329호)에서 고려 초기 왕실 제기(祭器:제례에서 사용되는 그릇 및 관련 도구들)가 다수 출토됐다.
용인특례시는 문화재청과 함께 추진한 ‘용인 서리 고려백자요지 제4차 발굴조사’ 결과 고려 초기 백자 생산 관련 시설과 왕실 제기 등이 확인됐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6월10일부터 지난 12일까지 진행된 이번 4차 발굴조사에선 건물지와 답도(통로), 계단, 저장구덩이, 폐기장 등 백자 가마 관련 시설이 확인됐다.
특히 건물지 외곽 구덩이 한 곳에서 보(寶·벼와 조를 담는 네모난 형태의 그릇)와 궤(籄·기장을 담는 둥근 형태의 그릇) 등 왕실 제기가 20여점 이상 출토됐다. 보와 궤 등은 중국 송나라 때 출판된 ‘삼례도’와 ‘고려도경’ 등의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왕실 제기로 고려도자 연구는 물론 왕실의 통치 철학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가 고려 왕실 제기의 제작과 납품 과정, 용인 서리 유적의 역사적 의미를 제고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용인 서리 고려백자요지에 대한 종합정비계획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고려백자요지는 1980년대 3차례에 걸친 발굴 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청자에서 초기 백자로 자기 생산기술이 변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 유적으로 확인돼 지난 1989년 사적 제329호로 지정됐다.
용인=김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